전경련, 제조업체 리쇼어링 효과 전망 발표
코로나19 장기화와 미중 갈등 상황에서 해외에 진출한 한국 기업이 국내로 돌아오면 강원도 속초시 인구보다 더 많은 일자리가 늘어날 것이라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울산 뉴스1

현대자동차 울산공장 수출 선적부두에 주차돼 있는 자동차.
울산 뉴스1
울산 뉴스1
업종별 신규 창출 가능 일자리는 자동차 1만 2000개, 도소매 1만 2000개, 육상운송 4971개, 전기·전자 4730개, 제조 임가공 4527개 등으로 추산됐다. 전경련은 해당 보고서에서 ‘투자 철수를 계획하고 있다’고 응답한 해외 진출 제조기업의 비율이 4.6%인 점을 고려해 이 같은 리쇼어링 효과를 분석했다.
해외 진출 국내 제조기업의 매출액 중 4.6%가 국내에서 발생할 경우 국내 생산액은 36조 2000억원 증가할 것으로 추정됐다. 업종별 생산 증가액은 자동차 8조 6000억원, 전기·전자 6조원, 1차 금속 2조 8000억원, 전기장비 2조 4000억원, 화학 2조 2000억원 등의 순이었다. 국내에서 창출되는 부가가치는 11조 4000억원에 달할 것으로 전망됐다.
전경련은 해외 진출 국내 제조기업의 실적 악화가 이어지는 지금이 리쇼어링을 확대할 기회라고 강조했다. 2020년 기준 해외 진출 제조기업 1개사당 평균 매출액은 1132억 8000만원, 영업이익은 21억 6000만원, 당기순이익은 8억 3000만원을 기록했다. 매출액은 2018년 대비 8.9%, 영업이익은 48.7%, 당기순이익은 60.5% 감소했다.
김봉만 전경련 국제본부장은 “공급망이 재편되고 실적이 악화되는 지금이 해외로 나간 우리 기업들의 복귀를 촉진할 기회”라며 “리쇼어링에 대한 인센티브를 확대하는 동시에 규제 완화와 노동시장 유연화 등 근본적으로 기업 하기 좋은 환경을 조성해야 한다”고 말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