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금리 시대가 지속되면서 주식이 개인의 가장 인기 있는 투자 상품으로 떠올랐다. 4년 전만 해도 선호도 1위였던 정기예금은 3위로 밀려났다.
금융투자협회와 자본시장연구원은 지난해 전국 7대 도시 개인투자자 2399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복수 응답)한 결과 투자 비중을 늘릴 의향이 있는 금융상품으로 주식(21.8%)이 가장 많이 꼽혔다고 18일 밝혔다. 이어 주식형 펀드(14.0%), 정기예금(9.8%), 채권형 펀드(7.8%), 해외펀드(6.8%), 주가연계증권·파생결합증권(5.3%), 부동산펀드(3.3%)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4년 전인 2012년 조사 때는 정기예금(53.2%), 주식(26.4%), 주식형펀드(20.7%), 채권형 펀드(8.7%), 해외펀드(4.5%) 등의 순이었다‘쥐꼬리 이자’에 지쳐 안전보다 수익을 선택한 것으로 풀이된다. 주식과 펀드 투자의 선호 순위가 높아졌지만 기대하는 목표 수익률은 크게 낮아졌다. 주식 투자의 연간 목표 수익률은 ▲2007년 30.9% ▲2009년 26.9% ▲2012년 18.3%로 감소하더니 이번 조사에선 9%에 그쳤다.
임주형 기자 hermes@seoul.co.kr
금융투자협회와 자본시장연구원은 지난해 전국 7대 도시 개인투자자 2399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복수 응답)한 결과 투자 비중을 늘릴 의향이 있는 금융상품으로 주식(21.8%)이 가장 많이 꼽혔다고 18일 밝혔다. 이어 주식형 펀드(14.0%), 정기예금(9.8%), 채권형 펀드(7.8%), 해외펀드(6.8%), 주가연계증권·파생결합증권(5.3%), 부동산펀드(3.3%)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4년 전인 2012년 조사 때는 정기예금(53.2%), 주식(26.4%), 주식형펀드(20.7%), 채권형 펀드(8.7%), 해외펀드(4.5%) 등의 순이었다‘쥐꼬리 이자’에 지쳐 안전보다 수익을 선택한 것으로 풀이된다. 주식과 펀드 투자의 선호 순위가 높아졌지만 기대하는 목표 수익률은 크게 낮아졌다. 주식 투자의 연간 목표 수익률은 ▲2007년 30.9% ▲2009년 26.9% ▲2012년 18.3%로 감소하더니 이번 조사에선 9%에 그쳤다.
임주형 기자 hermes@seoul.co.kr
2017-01-19 1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