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企 직접수출은 ‘그림의 떡’

中企 직접수출은 ‘그림의 떡’

입력 2013-05-03 00:00
수정 2013-05-03 00:12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로컬 수출 중소기업 70% “무역인력·자금확보 애로”

박근혜 정부가 수출 중소기업 육성을 강조하면서 산업통상자원부가 ‘수출지원119’ 등 지원책을 내놓고 있지만 중소기업 대부분은 ‘그림의 떡’이라며 불만을 토로한다.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연구원이 국내 315개 ‘로컬 수출기업’을 대상으로 애로점을 조사한 결과 수출용 원부자재를 국내에 납품하는 로컬 수출기업의 81%가 해외 직수출에 관심을 보였다. 특히 ‘완제품’과 ‘자체 브랜드’를 보유한 기업일수록 직수출에 대한 관심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로컬 수출업체란 부자재 및 완제품 등을 납품 형태로 간접 수출하는 업체를 말한다.

국내 로컬 수출 중소기업 5만 5000개 중 약 3만 3000개가 직수출 없이 국내 공급만 하고 있다. 이들 업체가 직수출에 높은 관심을 보이는 것은 내수시장이 작고 경쟁이 치열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로컬 수출 중소기업의 약 70%가 수출기업화 단계에서 필요한 무역인력과 자금 확보에 애로를 겪고 있어 정책적인 지원이 필요한 것으로 조사됐다.

응답 기업 중 28%가 수출기업화 지원 사업 등 정부와 수출지원 기관의 사업을 이용한 경험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까다로운 지원 자격 ▲복잡한 행정 절차 ▲일률적인 서비스 등으로 수출을 포기한 것으로 조사됐다.

보고서는 이를 해결하기 위해 향후 환율 안정, 바이어 정보 제공, 세제·금융지원 등에 대한 정책적인 지원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한준규 기자 hihi@seoul.co.kr

2013-05-03 18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도수치료 보장 안됩니다” 실손보험 개편안, 의료비 절감 해법인가 재산권 침해인가
정부가 실손의료보험 개편을 본격 추진하면서 보험료 인상과 의료비 통제 문제를 둘러싼 논란이 확산되고 있다. 비급여 진료비 관리 강화와 5세대 실손보험 도입을 핵심으로 한 개편안은 과잉 의료 이용을 막고 보험 시스템의 지속 가능성을 확보하기 위한 조치로 평가된다. 하지만 의료계와 시민사회를 중심으로 국민 재산권 침해와 의료 선택권 제한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과잉진료를 막아 전체 보험가입자의 보험료를 절감할 수 있다.
기존보험 가입자의 재산권을 침해한 처사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