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권 소비자 687가구 조사
월 2회 의무휴일제 지정 등 정부의 대형마트 규제 정책이 전통시장 활성화로 이어졌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대형마트를 규제해도 전통시장의 매출 부진이 여전하다는 기존 체인스토어협회 연구와 정반대 결과이다.

주 교수는 의무휴일 도입 논란 등으로 인해 대형마트 규제에 대한 여론의 관심이 가장 높았고, 규제 강도도 가장 셌던 지난해 5~6월 농식품 구입액을 1년 전인 2011년 5~6월과 비교했다. 조사 기간 1년 새 월 평균 대형마트 구입액은 10만 834원에서 8만 2639원으로 1만 8195원(18.04%) 줄었다.
같은 기간 전통시장 구입액은 5만 4726원에서 6만 3759원으로 9033원(16.51%) 늘었다. 유통 대기업이 운영하는 기업형 슈퍼마켓(SSM)에서의 구입액은 29.87%, 동네 야채가게·정육점·편의점 등 전문점 구입액은 16.30% 늘었다. 대형마트와 함께 유일하게 구입액이 줄어든 점포는 소형 슈퍼마켓으로 구입액이 19.92% 감소했다.
주 교수는 “대형마트 영업 규제 뒤 전통시장으로 소비자들의 발길이 옮겨갔음을 보여주는 결과”라면서 “대형마트 업체가 운영하는 SSM이 빠르게 시장점유율을 높여가는 모습도 포착됐다”고 분석했다. 이어 “SSM 확대 정책으로 진정한 골목상권인 소형 슈퍼마켓 구입액이 줄었지만, 전문점 구입액이 늘어난 데 주목해야 한다”면서 “대형마트 영업규제로 인해 유통의 전문화·다양화가 이뤄지고 있다”고 지적했다.
홍희경 기자 saloo@seoul.co.kr
2013-05-03 1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