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류, ‘코리아 디스카운트’ 해소에 큰 도움”

“한류, ‘코리아 디스카운트’ 해소에 큰 도움”

입력 2012-10-16 00:00
수정 2012-10-16 11:37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무협, 수출중소 132개사 조사…”비즈니스에 윤활유 역할”

우리 수출기업들은 케이팝(K-POP) 등 한류가 당장의 수출 증대보다는 장기적인 국가인지도 향상에 큰 도움을 줄 것으로 평가했다.

16일 한국무역협회에 따르면 최근 수출중소기업 132개사를 설문조사(복수응답)한 결과 한류 확산이 거시적으로 국가브랜드·인지도 향상(57%)과 ‘코리아 디스카운트 해소’(55.7%) 등에 도움이 될 것으로 전망됐다.

문화적 친밀도가 높아져 비즈니스 의사소통에 윤활유 역할을 할 것이라는 평가(34.7%)도 많았다.

한류가 당장 수출 증대에 도움이 될 것이라는 응답(40.2%)보다는 향후 수출 확대에 기여할 것이라는 전망(54.3%)이 다소 우세했다.

수출마케팅에 도움이 된 한류 콘텐츠로는 TV드라마(31.7%)가 가장 많이 꼽혔고, 케이팝(28.3%), 한류스타(17.6%) 등이 뒤를 이었다.

한류 활용시 문제점으로는 제조업과 문화산업 간 연계 미흡(41%), 정부 지원 부족(21.7%), 일부 지역의 반한류 정서(13.7%) 등이 지적됐다.

수출기업이 접촉한 외국인들은 우리나라 대표 이미지로 IT·문화강국(42.7%)을 언급했고, 한국을 연상할 때 가장 먼저 떠오르는 제품으로는 김치(47.2%)와 케이팝(32.3%)을 꼽았다.

또 한국산 제품에 대해서는 첨단제품(33.6%)과 중저가제품(29.6%) 이미지가 혼재돼 있어 브랜드 이미지 개선을 위한 노력이 좀 더 필요한 것으로 분석됐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도수치료 보장 안됩니다” 실손보험 개편안, 의료비 절감 해법인가 재산권 침해인가
정부가 실손의료보험 개편을 본격 추진하면서 보험료 인상과 의료비 통제 문제를 둘러싼 논란이 확산되고 있다. 비급여 진료비 관리 강화와 5세대 실손보험 도입을 핵심으로 한 개편안은 과잉 의료 이용을 막고 보험 시스템의 지속 가능성을 확보하기 위한 조치로 평가된다. 하지만 의료계와 시민사회를 중심으로 국민 재산권 침해와 의료 선택권 제한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과잉진료를 막아 전체 보험가입자의 보험료를 절감할 수 있다.
기존보험 가입자의 재산권을 침해한 처사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