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주로 차단 못하고 오인사격까지…軍 대응 ‘구멍’

도주로 차단 못하고 오인사격까지…軍 대응 ‘구멍’

입력 2014-06-23 00:00
업데이트 2014-06-23 13:5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무장탈영병에 ‘쩔쩔맨’ 軍…임 병장, 총격전 후 다시 이동

강원도 고성군 22사단 GOP(일반전초) 총기 난사탈영병인 임모 병장에 대한 군의 사건 발생 후 대응도 도마에 오르고 있다.

동부전선 GOP에서 동료 병사들을 살해한 뒤 무장탈영한 임모 병장 체포작전 이틀째인 23일 오전 강원도 고성군 거진읍 명파리와 마달리 사이 도로에서 작전에 참가한 수색팀이 부대 전진 방향에서 들리던 총성이 멈춘 뒤 수색지역으로 이동하기 위해 차량에 탑승하고 있다.  연합뉴스
동부전선 GOP에서 동료 병사들을 살해한 뒤 무장탈영한 임모 병장 체포작전 이틀째인 23일 오전 강원도 고성군 거진읍 명파리와 마달리 사이 도로에서 작전에 참가한 수색팀이 부대 전진 방향에서 들리던 총성이 멈춘 뒤 수색지역으로 이동하기 위해 차량에 탑승하고 있다.
연합뉴스
임 병장은 지난 21일 오후 8시15분께 전우들에게 수류탄 1발을 투척하고 소총으로 10여 발의 실탄을 발사한 뒤 탈영해 23일 오전까지 군과 대치 중이다. 시간상으로 보면 벌써 40시간 가까이 지나고 있는 셈이다.

특히 임 병장은 범행을 저지르고 18시간 만에 부대에서 10㎞ 정도 떨어진 고성 제진검문소 부근까지 도주했다.

군의 비상경계 속에서도 그는 예상 밖으로 상당히 먼 거리를 이동했다. 전역 3개월을 앞둔 말년 병장이기 때문에 주변 지형에 밝았을 것으로 추정되고 있지만, 군이 도주로를 초기에 제대로 차단하지 못한 것 아니냐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사건 발생 13분 뒤 22사단의 위기조치반이 소집됐는데도 부대에서 사라진 임 병장의 신병을 적극적으로 확보하려는 노력이 미흡했다는 것이다.

이에 대해 군의 한 관계자는 “당시에는 사상자 수습이 먼저였고 부대에서도 경황이 없었던 같다”고 말했다.

군이 제진검문소 주변에서 임 병장과 처음 맞닥뜨린 이후 벌인 작전도 느슨하지 않았느냐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임 병장은 22일 오후 2시23분께 군과 한 차례 총격전을 벌인 뒤 차단선 주변 숲 속에 숨어 있다가 오후 11시30분께 대범하게 차단선 돌파를 시도하기도 했다.

그는 우리 병력이 포위하고 있는 차단선 30m까지 접근했다. 경계 병력은 그에게 수하(암구호)를 했으나 불응하고 도주했다.

군 관계자는 “임 병장으로 추정되는 사람이 차단선을 뚫으려고 시도했고 실패하자 도주한 것으로 보인다”면서 “그는 사격하지 않고 도주했다. 임 병장인지는 확실치않지만 맞을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고 말했다.

또 군은 23일 오전 8시40분께는 체포조끼리 오인 사격하기도 했다.

오인 사격으로 진모 상병이 우측 관자놀이를 스치는 부상을 당해 헬기로 강릉 아산병원으로 긴급 후송됐다.

김민석 국방부 대변인은 정례브리핑을 통해 “포위망을 좁히다 보니 장병들이 긴장 상태에 있다”고 말했다.

현재 임 병장은 고성의 금강산콘도에서 500m 서쪽으로 떨어진 곳에서 군과 대치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제진검문소 근처 숲에서 상당한 거리를 이동한 것으로 보여 다중 포위망이 뚫린 것 아니냐는 지적도 나온다.

이에 군 관계자는 “현재 체포작전이 진행되는 지역은 대부분이 미확인 지뢰 지대이고 짙은 안개와 벼락을 동반한 소나기로 감시장비와 정찰헬기 동원이 제한되는 곳”이라며 “임 병장이 숨어 있는 곳으로 많은 병력을 투입해 적극적인 작전을 펼치기 어려웠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핵무장 논쟁,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평화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독자 핵무장 찬성
독자 핵무장 반대
사회적 논의 필요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