막 올린 文-安 후보단일화 경쟁…‘산너머 산’

막 올린 文-安 후보단일화 경쟁…‘산너머 산’

입력 2012-09-16 00:00
업데이트 2012-09-16 16:5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지지율 추이가 관건..담판이냐 경선이냐

양측은 단일화 방식과 관련, 크게 정치협상을 통한 담판과 유권자의 의사를 직접 묻는 경선 등 크게 두 갈래의 길림길에 놓이게 될 것으로 전망된다.

정치협상을 통한 담판은 1997년 대선을 앞두고 새정치국민회의 김대중 후보와 자민련 김종필 총재 간 연립정부를 매개로 후보단일화에 성공한 방식이 대표적이다.

지난해 10ㆍ26 서울시장 보궐선거 때 지지율이 월등히 높았던 안 원장이 조건 없이 무소속 박원순 후보 지지를 선언한 것 역시 담판을 통한 단일화였다.

문 후보측은 담판을 통한 단일화를 희망하는 분위기이다. 문 후보측으로부터 선대위원장 영입설이 제기된 조국 서울대 법학전문대학원 교수도 최근 라디오 인터뷰에서 “담판을 통해 한쪽이 양보하는 것이 제일 아름답고 정말 감동 있는 단일화의 모습이 될 것이고, 또 승리를 보장할 것”이라고 강조한 바 있다.

문 후보측의 이러한 희망의 이면에는 안 원장의 양보가 전제로 깔려 있다.

하지만 문 후보의 지지율이 안 원장을 압도하지 않을 경우 담판 방식은 쉽지 않은 과정을 거칠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온다.

안 원장이 10ㆍ26 서울시장 보궐선거 당시 자신보다 지지율이 한참 밑돌았던 박 시장에게 양보한 선례가 있긴 하지만, 당시에 안 원장은 서울시장 출마 여부를 검토하던 단계였다.

따라서 일단 대권 도전을 선언한다면 같은 선택을 하기란 쉽지 않을 것이라는 시각도 고개를 들고 있다.

이 과정에서 문 후보가 제안했던 ‘공동정부론’이 정치적 협상의 고리가 될 것이라는 관측도 제기된다. 일각에선 양측이 공동으로 ‘섀도 캐비닛’(예비 내각)을 구성하는 방안도 거론되고 있다.

문 후보측 인사는 “공동정부론은 양측간 정책연합을 토대로 진행될 것”이라며 “나눠먹기식이라는 인상으로 비쳐지지 않도록 하는게 중요하다”고 말했다.

경선은 지지율이 엇비슷한 상황에서 가능한 방법이다. 2002년 노무현 정몽준 후보 간 단일화는 노 후보가 20% 초반, 정 후보가 20%대 중반 지지율을 보이던 상황에서 합의가 이뤄졌다.

경선 방식은 10ㆍ26 서울시장 보궐선거 때 민주당 박영선, 무소속 박원순 후보의 사례를 참고할 만하다. 당시 경선은 여론조사 30%, TV토론후 배심원 평가 30%, 국민참여경선 40%를 반영하는 방식으로 치러졌다.

이 중 한 가지만 채택할지, 여러 방식을 결합하는 형태가 될지는 협상 결과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구체적 방식을 둘러싼 양측의 셈법은 결국 지지율 추이와 연동돼 움직일 수밖에 없어 보인다.

◇安 진로도 변수 = 안 원장이 출마 선언 후 어떠한 경로를 택할지도 단일화 협상의 향배에 영향을 줄 변수로 꼽힌다.

안 원장의 입당은 민주당과 문 후보측이 가장 원하는 시나리오다. 그러나 기성 정치권에 대한 반감이 투영된 ‘안철수 바람’을 등에 업은 안 원장이 당장 입당을 선택할 가능성은 낮아 보인다.

이 때문에 안 원장이 당분간 무소속으로 제3지대에 머물지 않겠느냐는 관측도 제기된다. 그러나 이 경우 제1야당의 조직적 지원이 없이 대권을 거머쥐기는 현실적 한계가 따를 수밖 없다.

민주당과 문 후보측도 “서울시장과 대통령 후보는 다르다”라며 “안 원장이 무소속 상태에서 단일화 협상에 나서더라도 늦어도 단일후보가 되는 시점에는 입당을 해야 한다는 부분이 전제돼야 할 것”이라고 마지노선을 정해놓은 분위기다.

이 경우 안 원장에게 입당의 명분을 제공하는 차원에서 ‘혁신 재창당론’ 등이 고개를 들 가능성이 있다.

또다른 선택지로 신당 창당을 통한 제3세력화 방안도 거론된다. 이와 관련, 안 원장 지원을 자임하는 일부 조직이 신당 창당을 염두에 둔 물밑 작업에 들어갔다는 얘기도 여의도 주변에서 돌았으나 “최근 들어 움직임이 잠잠해졌다”는 말도 나오고 있어 귀추가 주목된다.

‘헤쳐모여식’ 제3지대 통합신당 또는 가설정당 창당 가능성도 오르내리고 있으나 이에 대해 민주당 지도부는 일단 회의적 입장을 내비치고 있다.

그 대안으로 안 원장이 대선 전 통합정당 출범을 약속하고 실제 창당 작업은 대선 후 진행하는 방안도 일각에서 나오고 있다.

안 원장이 단일화 없이 ‘제3의 후보’로서 독자행보를 이어가는 그림은 민주당이나 문 후보로선 상상하기 싫은 ‘경우의 수’다. 3자 대결구도는 안 원장으로서도 위험부담이 큰 모험이 될 수 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핵무장 논쟁,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평화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독자 핵무장 찬성
독자 핵무장 반대
사회적 논의 필요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