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선수권 출전 4인방 모두 출전, ‘그랜드 파이널’행 디딤돌 놓기
우상혁(26·국군체육부대)이 ‘라이벌’ 무타즈 에사 바심(31·카타르)과 ‘리턴매치’에 나선다.![우상혁이 18일(현지시간) 미국 오리건주 유진의 헤이워드 필드에서 열린 2022 세계육상선수권대회 남자 높이뛰기 결승전에서 도약해 바를 넘고 있다. EPA 연합뉴스](https://img.seoul.co.kr/img/upload/2022/07/19/SSI_20220719132448_O2.jpg)
EPA 연합뉴스
![우상혁이 18일(현지시간) 미국 오리건주 유진의 헤이워드 필드에서 열린 2022 세계육상선수권대회 남자 높이뛰기 결승전에서 도약해 바를 넘고 있다. EPA 연합뉴스](https://img.seoul.co.kr//img/upload/2022/07/19/SSI_20220719132448.jpg)
우상혁이 18일(현지시간) 미국 오리건주 유진의 헤이워드 필드에서 열린 2022 세계육상선수권대회 남자 높이뛰기 결승전에서 도약해 바를 넘고 있다.
EPA 연합뉴스
EPA 연합뉴스
당시 바심은 2m37을 뛰어 대회 3연패를 달성했다. 마지막까지 바심과 경쟁한 선수는 우상혁이었다. 그는 2m35를 넘어 한국 육상에 사상 첫 세계선수권 은메달을 선물했다. 바심과 도쿄올림픽 공동 1위에 올랐던 장마르코 탬베리(30·이탈리아)는 2m33의 벽에 막혀 4위, 안드리 프로첸코(34·우크라이나)의 기록도 2m33이었지만, 성공 시기에서 앞선 프로첸코가 동메달을 땄다.
![우상혁, 한국 첫 세계선수권 ‘은빛 점프’](https://img.seoul.co.kr/img/upload/2022/07/19/SSI_20220719171721_O2.jpg)
유진 EPA 연합뉴스
![우상혁, 한국 첫 세계선수권 ‘은빛 점프’](https://img.seoul.co.kr//img/upload/2022/07/19/SSI_20220719171721.jpg)
우상혁, 한국 첫 세계선수권 ‘은빛 점프’
‘스마일 점퍼’ 우상혁(국군체육부대)이 한국 육상의 새로운 역사를 썼다. 19일(한국시간) 미국 오리건주 유진 헤이워드 필드에서 열린 2022 세계육상선수권대회 남자 높이뛰기 결선에서 2m35를 넘은 우상혁이 태극기를 몸에 두르고 값진 은메달을 내보이며 기뻐하고 있다.
유진 EPA 연합뉴스
유진 EPA 연합뉴스
하지만, 올 시즌에는 바심(2m37) 외에 우상혁(2m35)보다 좋은 기록을 낸 선수는 없다. 따라서 모나코 다이아몬드리그도 바심과 우상혁의 ‘2파전’이 될 가능성이 크다.
지난 3월 20일 베오그라드 세계실내선수권 우승(2m34), 5월 14일 도하 다이아몬드리그 우승(2m33), 7월 19일 세계(실외)선수권 2위(2m35) 등 한국 육상 최초의 기록을 줄줄이 작성한 우상혁의 2022년 마지막 목표는 다이아몬드리그 ‘그랜드 파이널’에서 최종 승자가 되는 것이다.
각 종목 10명만 초청해 벌이는 다이아몬드리그는 올해 13개 대회 중 12개 대회 랭킹으로 6명만 추려 9월 8일~9일 스위스 취리히에서 열리는 그랜드 파이널에서 최종 승자를 가린다. 12개 대회 중 남자 높이뛰기가 열리는 대회는 5개다. 이미 3개 대회(도하, 버밍엄, 로마)를 치렀고, 모나코와 로잔(8월 26일) 대회가 남자 높이뛰기를 편성했다.
![반스카 비스트리차 대회 시상대 가장 높은 곳에 오른 우상혁](https://img.seoul.co.kr/img/upload/2022/02/16/SSI_20220216140628_O2.jpg)
![반스카 비스트리차 대회 시상대 가장 높은 곳에 오른 우상혁](https://img.seoul.co.kr//img/upload/2022/02/16/SSI_20220216140628.jpg)
반스카 비스트리차 대회 시상대 가장 높은 곳에 오른 우상혁
우상혁이 16일(한국시간) 슬로바키아 반스카 비스트리차에서 열린 인도어(실내) 육상대회에서 우승한 뒤, 시상식을 하고 있다. 이날 우상혁은 2m35를 넘어 1위를 차지했다. 2022.2.16 대한육상연맹 제공.
우승 상금은 리그 대회보다 세 배나 많은 3만달러(약 3900만원). 여기에 ‘다이아몬드리그 위너’라는 타이틀과 함께 2023년 부다페스트 세계선수권대회 자동 출전권도 따라온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