숨은 영웅 두하이타오·마밍타오
中 크로스컨트리스키 2명양 팔 없이도 열심히 달려
![](https://img.seoul.co.kr/img/upload/2018/03/20/SSI_20180320183130_O2.jpg)
![](https://img.seoul.co.kr//img/upload/2018/03/20/SSI_20180320183130.jpg)
그러나 둘의 모습은 그 어떤 사진이나 동영상보다 강렬하게 남았다. 이마에 맺힌 땀방울까지.
지난 14일 크로스컨트리스키 남자 1.5㎞ 스프린트 클래식 입식 준결선에서 6위로 탈락한 두하이타오(왼쪽·30)와 15위로 예선 탈락한 마밍타오(오른쪽·29·이상 중국)가 주인공이다. 남자 1.1㎞ 좌식에 나선 신의현(37·창성건설)과 그를 응원하기 위해 평창 바이애슬론센터를 찾은 문재인 대통령에 언론이 몰린 탓인지 입식 레이스는 별다른 이목을 끌지 못했다.
하지만 둘의 레이스 모습은 10여년 전부터 장애인 체육과 패럴림픽에 대한 기사를 써온 기자로서도 작지 않은 충격과 부끄러움을 느끼게 했다. 이들은 장애 정도가 심해 예선에 참가한 다른 선수들보다 조금 앞서 출발했다.
조직위원회 홈페이지에 실린 정보에 따르면 두하이타오는 네 살 때, 마밍타오는 열한 살 때 송전선에 감전돼 어깨 아래를 잃었다. 두하이타오는 2007년 데뷔해 꾸준히 대회에 출전한 반면, 마밍타오는 2015년 장애인 육상으로 데뷔해 첫 패럴림픽이었다.
따뜻한 날씨로 눈이 많이 녹아 폴을 찍어 스키를 앞으로 밀어낼 수 있는 선수들보다 더 힘들기만 했다. 중간 지점까지는 중위권을 지켰으나 결국 추월당했다. 폴을 하나라도 들 수 있는 선수들에 견줘 불리할 수밖에 없었다. 하지만 이들은 아랑곳하지 않고 열심히 달려 24명 가운데 꼴찌는 아니었다.
대회 최다관왕인 4관왕에 오른 것도 아니지만 내 마음속 MVP로 뽑는 데 손색이 없었다. 둘은 12일 20㎞ 프리, 17일 10㎞ 클래식에도 출전했다. 마밍타오는 폐막일 4x2.5㎞ 오픈 계주에, 두하이타오는 같은 거리의 혼성 계주에 두 번째 주자로 출전해 각각 10위와 9위를 차지하는 데 힘을 보탰다. 4년 뒤 베이징대회에서 만나면 더 뜨거운 관심을 갖고 지켜보겠다고 다짐해 본다.
임병선 선임기자 bsnim@seoul.co.kr
2018-03-21 2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