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간급 질량’ 블랙홀 첫 발견

‘중간급 질량’ 블랙홀 첫 발견

입력 2012-07-10 00:00
수정 2012-07-10 10:06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지금까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생각돼 왔던 중간급 질량의 블랙홀이 국제연구진에 의해 처음으로 발견됐다고 사이언스 데일리가 9일 보도했다.

호주 연방과학산업연구기구(CSIRO)의 호주전파망원경배열(ATCA)을 이용해 지구에서 3억광년 떨어진 ESO-243-49 은하를 관찰해 온 과학자들은 은하 중심부에서 질량이 우리 태양의 약 2만배로 추정되는 중간급 질량의 블랙홀을 발견했다고 사이언스 익스프레스에 발표했다.

HLX-1(초고광도 X-선 광원)으로 불리는 이 블랙홀이 발견되기 전까지 과학자들은 우리 태양 질량의 100만~10억배의 초거대 블랙홀과 3~30배인 미니 블랙홀만 존재하는 것으로 생각해 왔다.

과학자들은 지난 2009년 유난히 밝은 X-선을 방출하는 HLX-1을 처음 발견한 이래 ATCA를 이용해 그 정체를 밝히려고 노력해 왔다.

이 블랙홀은 주변의 별이나 가스 구름으로부터 가스를 빨아들여 초고온으로 가열되면서 초고온 가스와 X-선 광선을 방출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연구진은 “지금까지 수많은 밝은 X-선 광원을 대상으로 중간급 질량의 블랙홀이 아닌지 추적했으나 모두가 질량이 작은 블랙홀로 밝혀졌으며 다른 작은 블랙홀보다 10배 정도 밝은 HLX-1만이 예외”라고 말했다.

학자들은 HLX-1의 플레어 방출은 이웃별이 매우 특이한 궤도로 블랙홀 주위를 돌다가 가까워질 때 가스를 빨아들이면서 일어나는 것으로 확인됐다고 밝혔다.

이들은 중간급 질량의 블랙홀이 이밖에도 많을 것으로 추측되지만 아직까지 한 개 밖에 발견되지 않은 이유는 다른 중간급 블랙홀들이 현재 먹이활동을 하고 있지 않거나 매우 느린 속도로 주위 물질을 잡아먹기 때문에 눈에 띄지 않는 것 같다고 말했다.

연구진은 HLX-1이 낮은 질량의 왜은하 중심부에 있었으나 이 왜은하가 더 큰 은하 ESO-243-49에 흡수된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HLX-1 주변에서 별이 형성되고 있다는 증거가 나온 것이 바로 ‘왜은하의 합병’현상과 일치한다는 것이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전과자의 배달업계 취업제한 시행령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강력범죄자의 배달원 취업을 제한하는 내용의 시행령 개정안이 의결된 가운데 강도 전과가 있는 한 배달원이 온라인 커뮤니티에 “속죄하며 살고 있는데 취업까지 제한 시키는 이런 시행령은 과한 ‘낙인’이다”라며 억울함을 호소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전과자의 취업을 제한하는 이런 시행령은 과하다
사용자의 안전을 위한 조치로 보아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