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상기후에 지난 겨울 월동 꿀벌 78억마리 사라져
2020년 벌꿀 생산량 평년대비 8%에 불과한 2322t
정부가 사라지는 ‘꿀벌’ 보호에 역량을 집중하기로 했다.지난 겨울 월동 꿀벌 78억마리가 사라진 것으로 추산된다. 폐사 원인은 해충과 이상기후로 추정될 뿐 명확하게 규명되지 않았다.
![부지런함과 협력의 대명사 ‘꿀벌’은 식물의 꽃가루를 옮겨 다양한 작물 재배가 가능하도록 돕는 유용한 곤충이다. 기후변화로 지난 겨울 월동 꿀벌 78억마리가 사라진 것으로 추산된다. 폐사 원인은 해충과 이상기후로 추정될 뿐 명확하게 규명되지 않았다. 서울신문 DB](https://img.seoul.co.kr/img/upload/2022/03/24/SSI_20220324225844_O2.jpg)
![부지런함과 협력의 대명사 ‘꿀벌’은 식물의 꽃가루를 옮겨 다양한 작물 재배가 가능하도록 돕는 유용한 곤충이다. 기후변화로 지난 겨울 월동 꿀벌 78억마리가 사라진 것으로 추산된다. 폐사 원인은 해충과 이상기후로 추정될 뿐 명확하게 규명되지 않았다. 서울신문 DB](https://img.seoul.co.kr//img/upload/2022/03/24/SSI_20220324225844.jpg)
부지런함과 협력의 대명사 ‘꿀벌’은 식물의 꽃가루를 옮겨 다양한 작물 재배가 가능하도록 돕는 유용한 곤충이다. 기후변화로 지난 겨울 월동 꿀벌 78억마리가 사라진 것으로 추산된다. 폐사 원인은 해충과 이상기후로 추정될 뿐 명확하게 규명되지 않았다. 서울신문 DB
전국적으로 발생하고 있는 월동 봉군 폐사 원인으로 기후변화와 함께 꿀벌의 주요 먹이원인 아까시나무의 분포면적이 급감하면서 먹이원 공급에도 차질을 빚고 있다. 1980년대 32만㏊이던 아카시나무 면적이 2010년대 3만 6000㏊로 감소했다. 이같은 환경변화로 벌꿀 생산량이 2020년 평년대비 8%인 2322t, 2021년 45%인 1만 3123t으로 급감하는 등 생태계 파괴와 경제적 손실로 이어졌다.
이번 사업은 이상기상 등 다양한 환경변화에 따른 꿀벌 생태계 파괴 문제 해결을 위해 마련됐다.
주관 부처인 농진청은 꿀벌 사육과 병해충 관리 등 강건성 향상과 화분 매개 생태계서비스 강화기술 개발을 추진한다. 산림청은 기후변화에 적합한 밀원수 선발과 밀원 단지 조성 모델 개발 및 보급을 담당한다. 농림축산검역본부는 꿀벌 질병 진단과 제어기술 개발을, 기상청은 밀원수 개화 예측 모델을 개발할 계획이다. 환경부는 등검은말벌과 같은 외래해충 관리 등에 나선다.
연구개발은 1단계(기초 개발연구)와 2단계(현장 실증화)로 구분해 기술 개발과 현장보급을 연계 추진한다.
방혜선 농진청 사업기획팀 과장은 “생태계서비스의 취약성을 극복하고 양봉산업의 회복탄력성을 높일 수 있도록 관계 부처간 협력을 확대 강화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