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공원관리공단은 지난해부터 올해 7월까지 다도해해상국립공원 소안도에서 소안해마(가칭)의 생태 연구를 진행하면서 산란특성을 확인했다고 4일 밝혔다. ‘일부일처제’로 알려진 해마는 번식기에 암컷이 수컷의 배에 있는 주머니(보육낭) 속에 알을 산란한다. 수컷은 수정란을 돌보고 부화시킬 뿐 아니라 태어난 새끼가 독립할 때까지 뱃속에서 키우다 1㎝ 정도 자라면 내보낸다.
대부분 어류는 부화 후 섭식이 가능한 시기까지 에너지를 난황에 의존하는 자어단계를 거치지만 해마는 자어단계를 수컷의 보육낭에서 보낸다.
소안해마 수컷은 5~6월에 암컷에게서 알을 받아 20~30일간 보육하다 6~7월쯤 수컷 한마리가 30~70마리의 치어를 출산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다른 해마류에 비해 치어수가 적어 보호대책이 시급하다.
해마는 독특한 형태와 생태적 특성으로 관상용으로 인기가 높고 만병통치약으로 잘못 알려지면서 전 세계에 걸쳐 남획과 불법거래가 성행하고 있다. 더욱이 크기가 작고 헤엄치는 능력이 약해 연안에 정착하는 어류로 거머리말 등 해초류가 없으면 서식이 불가능하다. 국내에 분포하는 해마류는 해마·가시해마·복해마·산호해마·신도해마·점해마·히포캄푸스 켈로기 등 7종이며 소안해마는 종명이 밝혀지지 않았다.
이미지 확대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세종 박승기 기자 skpark@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