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청조씨가 경호원과 함께 있는 모습. 김민석 강서구의회 의원 제공](https://img.seoul.co.kr/img/upload/2023/10/30/SSC_20231030204456_O2.jpg)
![전청조씨가 경호원과 함께 있는 모습. 김민석 강서구의회 의원 제공](https://img.seoul.co.kr//img/upload/2023/10/30/SSC_20231030204456.jpg)
전청조씨가 경호원과 함께 있는 모습. 김민석 강서구의회 의원 제공
서울동부지검 형사2부(부장 박명희)는 29일 특정경제범죄가중처벌법(특경법)상 사기, 공문서위조 및 위조공문서행사, 사문서위조 및 위조사문서행사 혐의로 전씨를 구속기소했다고 밝혔다. A씨는 지난 23일 특경법상 사기혐의로 구속했다.
전씨와 A씨는 지난 3월부터 10월까지 각각 국내 유명 기업의 후계자와 그 경호원 행세로 사기행각을 벌였다. 재테크 강의를 명목으로 모집한 수강생들, 남씨의 펜싱 학원 학부모, 소셜미디어(SNS) 지인 등 조사된 피해자는 27명으로 피해 금액은 30억원에 달하는 파악됐다.
여성인 전씨는 주민번호 뒷자리가 1로 시작하고 본인의 사진을 붙인 남성 주민등록증을 위조해 피해자들에게 제시해 공문서위조 및 위조공문서행사 혐의도 제기됐다. 지난 7월에는 본인이 후계자 행세를 한 회사 대표이사 명의로 된 용역계약서를 위조해 피해자들에게 보여준 혐의도 있다. A씨는 전씨의 경호원 행세를 하며 고급 주거지와 외제 차량을 빌리는 데 명의를 제공하고 사기 범죄 수익을 관리하며 일부를 나눠 가진 혐의다.
검찰 관계자는 “피해자 90% 이상이 20~30대 사회 초년생”이라며 “피의자들은 피해자들의 사회 경험이 상대적으로 부족한 점을 악용해 미래 대비 자금의 거의 전부를 빼앗고, 이들 중 일부는 고리 대출까지 받아 피해금 1억원 기준 매달 200만원 상당의 원리금을 변제하게 되는 등 추가 피해도 입었다”고 밝혔다. 이어 “피의자들이 죄에 상응하는 처벌을 받도록 철저히 공소 유지하겠다. 경찰과 협의해 공범 및 여죄 관련 수사를 면밀하게 진행하고 범죄 수익은 끝까지 추적해 피해회복을 위해 노력하겠다”고 했다.
경찰은 사기방조 등 혐의로 고소·고발된 남씨를 불구속 상태로 수사 중이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