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 4바퀴 돌 수 있는 하수관로…요금은 처리비용의 45%

지구 4바퀴 돌 수 있는 하수관로…요금은 처리비용의 45%

박승기 기자
박승기 기자
입력 2024-01-10 14:47
수정 2024-01-10 15:4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전국 하수도 보급률 95.1%, 농어촌 지속 상승
처리 하수 재이용 15.4%로 8500억 절감 효과

이미지 확대
민간 투자를 통해 이전을 추진 중인 대전하수처리장. 서울신문
민간 투자를 통해 이전을 추진 중인 대전하수처리장. 서울신문
전국에 지구 둘레(4만㎞)를 4바퀴 이상 돌 수 있는 하수관로가 설치된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 하수도 요금은 하수 처리비용의 45%에 불과했다.

환경부가 10일 발표한 ‘2022년 하수도 통계’에 따르면 공공하수처리시설과 공공폐수처리시설을 통해 하수를 처리하는 인구 비율인 ‘하수도 보급률’은 95.1%로 2013년(92.1%)대비 3% 포인트 상승했다. 특히 농어촌지역(668개) 하수도 보급률은 76.6%로 10년 전(63.7%)과 비교해 12.9% 포인트 높아져 도시와 농어촌 하수도 보급률 격차가 20.2% 포인트까지 줄었다. 전국 공공하수처리장은 4397곳으로 하루 처리용량이 500t 이상이 714개, 500t 미만은 3683개였다. 하루 처리용량은 2689만 8000t에 달하고, 전국에 설치된 하수관로 총 길이는 16만 8786㎞나 됐다.

2022년 처리된 하수(73억 7891만t)의 15.4%(11억 3675만t)는 하천유지용수나 공업용수 등으로 재이용됐다. 이는 올림픽 규격 수영장 30만 3000여개를 채울 수 있는 양으로, 상수도로 환산하면 약 8500억원을 절약한 셈이라고 환경부는 덧붙였다. 재이용은 하천유지용수가 41.5%를 차지했고 하수처리시설 세척수(17.3%), 공업용수(11.4%) 등의 순이다.

전국 평균 하수도 요금은 t당 634.7원으로 나타났다. 보급율이 높은 특·광역시가 646.4원, 도 단위는 623.3원으로 차이를 보였다. 하수 처리 원가는 t당 1392.5원으로 요금 현실화율은 45.6%에 불과했다. 하수도 요금 현실화율은 2015년 처음 40%대(40.4%)를 기록한 뒤 2019년 47.9%까지 상승한 후 45%대를 유지하고 있다.

김종률 환경부 물환경정책관은 “하수도 통계는 하수도 정책 추진의 기초자료”라며 “안정적이고 효율적인 공공하수도 정책을 적극 추진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전과자의 배달업계 취업제한 시행령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강력범죄자의 배달원 취업을 제한하는 내용의 시행령 개정안이 의결된 가운데 강도 전과가 있는 한 배달원이 온라인 커뮤니티에 “속죄하며 살고 있는데 취업까지 제한 시키는 이런 시행령은 과한 ‘낙인’이다”라며 억울함을 호소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전과자의 취업을 제한하는 이런 시행령은 과하다
사용자의 안전을 위한 조치로 보아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