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야간 산불을 막아라… 경남 합천 현장을 가다
강풍 속 산불 3단계 발령
헬기 투입 힘든 곳 첨단 드론 배치
인력·장비 실시간 효율 배치
고성능 진화차량 첫 투입 효과
163㏊ 진화 새 전기 마련
산불이 대형화·연중화되면서 피해가 급증하고 있다. 건조한 날씨와 풍부해진 연료, 기후변화로 우리 산림은 작은 불씨 하나로도 대형 재난으로 번질 수 있는 ‘화약고’로 돌변했다. 지난해 산불로 서울 여의도 면적(290㏊)의 258배에 달하는 7만 4782㏊의 산림이 사라졌다. 공익적 가치(8374억원)와 복구(2578억원), 진화 비용(467억원) 등 경제적 손실만 1조 3452억원에 달한다. 산불로 인한 탄소 배출 등의 환경 피해와 피해지 원상회복에 소요되는 100년의 시간은 반영되지 않았다. 1990년대 104일이던 연간 산불발생일이 2020년대 171일로 64% 증가했다. 산불이 강풍을 만나면 ‘화마’(火魔)가 된다. 진화력이 떨어지는 야간 상황에서는 피해 예측조차 불가능하다. 산림당국이 일몰 전 산불 진화에 총력을 기울이는 이유다. 올 들어 최대 피해가 발생한 지난 8일 경남 합천 산불(163㏊)이 야간 진화의 ‘전기’를 마련한 것으로 평가된다. 일몰 시 35%이던 진화율이 일출 당시 95%까지 가능했던 상황을 따라가 봤다.![지난 8일 경남 합천군 용주면 월평리 인근 야산에서 발생한 산불이 야간까지 이어지면서 진화대원들이 산속에서 불길을 잡기 위해 물을 뿌리고 있다. 산림청 제공](https://img.seoul.co.kr/img/upload/2023/03/13/SSC_20230313181346_O2.jpg)
산림청 제공
![지난 8일 경남 합천군 용주면 월평리 인근 야산에서 발생한 산불이 야간까지 이어지면서 진화대원들이 산속에서 불길을 잡기 위해 물을 뿌리고 있다. 산림청 제공](https://img.seoul.co.kr//img/upload/2023/03/13/SSC_20230313181346.jpg)
지난 8일 경남 합천군 용주면 월평리 인근 야산에서 발생한 산불이 야간까지 이어지면서 진화대원들이 산속에서 불길을 잡기 위해 물을 뿌리고 있다.
산림청 제공
산림청 제공
김만주 산림청 산불방지과장은 8일 오후 2시 10분쯤 합천군 용주면 월평리 인근 야산에서 산불이 발생했을 당시의 심각했던 상황을 이렇게 설명했다. 김 과장은 강풍 속에 산불 3단계가 발령되는 순간 지난해 3월 4일 발생한 울진·삼척 산불(2만 923㏊)이 오버랩됐다. 진화까지 9일, 213시간 43분이 소요된 역대 최장의 산불로, 같은 날 발생한 강릉·동해 산불(4000㏊)을 합하면 피해 면적이 2만 4923㏊에 달했다. 역대 최대 피해를 기록했던 2000년 동해안 산불(2만 3794㏊)을 능가하는, 축구장(0.7㏊) 3만 5600개에 달하는 규모다. 산불 3단계는 피해(추정) 면적 100㏊ 이상, 평균 풍속 7m 이상, 진화(예상) 시간은 24시간 이상일 때 발령된다. 올해 첫 3단계가 발령된 상황에서 건조한 날씨와 강한 바람으로 막대한 피해가 우려됐다. 오후 7시 기준 진화율이 35%에 불과했지만 헬기들이 작업을 중단하고 착륙했다.
![현장에서 이륙하는 열화상카메라가 장착된 산불 드론. 산림청 제공](https://img.seoul.co.kr/img/upload/2023/03/13/SSC_20230313181349_O2.jpg)
산림청 제공
![현장에서 이륙하는 열화상카메라가 장착된 산불 드론. 산림청 제공](https://img.seoul.co.kr//img/upload/2023/03/13/SSC_20230313181349.jpg)
현장에서 이륙하는 열화상카메라가 장착된 산불 드론.
산림청 제공
산림청 제공
처음 실전 투입된 고성능 진화차량(유니목)이 강원 원주에서 이동해 공중·특수진화대 지원에 나섰다. 늦은 밤 바람이 잦아들고 방향이 ‘하경사’(위에서 아래로 내려오는 바람)로 바뀌며 속도가 꺾이자 진화에 속도가 붙었다.
김 과장은 “대형 산불로 확산될 우려가 높았고 화마가 마을을 덮칠 수 있는 위험한 상황이 있었다”면서도 “장비와 인력 투입이 가능한 임도가 설치된 현장에서 지상 진화를 강화할 수 있는 전략을 확보하게 됐다”고 말했다.
![올해 첫 실전인 합천 산불 현장에 투입된 고성능 진화차량인 유니목. 산림청 제공](https://img.seoul.co.kr/img/upload/2023/03/13/SSC_20230313181352_O2.jpg)
산림청 제공
![올해 첫 실전인 합천 산불 현장에 투입된 고성능 진화차량인 유니목. 산림청 제공](https://img.seoul.co.kr//img/upload/2023/03/13/SSC_20230313181352.jpg)
올해 첫 실전인 합천 산불 현장에 투입된 고성능 진화차량인 유니목.
산림청 제공
산림청 제공
우충식 국립산림과학원 산사태연구실장은 “인력이 접근할 수 없는 산불 상황을 정확하게 파악하는 것이 드론의 첫 번째 임무”라며 “헬기 투입이 되지 않는 야간 진화에 도심항공교통(UAM)을 활용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
![산불 진화 차량들이 임도에 대기한 채 진화용수 등을 공급하고 있다. 산림청 제공](https://img.seoul.co.kr/img/upload/2023/03/13/SSC_20230313181356_O2.jpg)
산림청 제공
![산불 진화 차량들이 임도에 대기한 채 진화용수 등을 공급하고 있다. 산림청 제공](https://img.seoul.co.kr//img/upload/2023/03/13/SSC_20230313181356.jpg)
산불 진화 차량들이 임도에 대기한 채 진화용수 등을 공급하고 있다.
산림청 제공
산림청 제공
![](https://img.seoul.co.kr/img/upload/2023/03/13/SSC_20230313181359_O2.jpg)
![](https://img.seoul.co.kr//img/upload/2023/03/13/SSC_20230313181359.jpg)
남성현 산림청장은 “하동 산불을 진화하던 대원이 숨지고 민가 피해와 주민 대피 등 산불로 인한 고통이 심각해지고 있다”면서 “불법소각이나 부주의로 인한 산불에 대해 더이상 관용을 허용할 수 있는 여력이 없다”고 강조했다.
2023-03-14 8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