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 “등산객 등 위협 우려”
포획작업 5개월 만에 마무리
![지난해 11월 탈출한 곰을 수색하는 모습. 연합뉴스](https://img.seoul.co.kr/img/upload/2022/04/17/SSI_20220417181308_O2.jpg)
![지난해 11월 탈출한 곰을 수색하는 모습. 연합뉴스](https://img.seoul.co.kr//img/upload/2022/04/17/SSI_20220417181308.jpg)
지난해 11월 탈출한 곰을 수색하는 모습. 연합뉴스
용인시는 17일 오전 5시 35분쯤 양지면 평창리 기아연수원 인근 야산에서 반달가슴곰을 발견했다는 주민 신고를 접수했다.
시는 곧바로 피해방지단 19명과 사냥개 13마리를 현장에 보내 곰을 수색했고, 오전 9시 10분 곰을 포획하는 데 성공했다.
시는 곰이 발견된 지역이 인가와 가깝고, 곰이 임산물 채취에 나선 주민과 등산객의 안전을 위협할 우려가 있어 부득이하게 곰을 사살했다고 설명했다.
이날 발견된 곰은 지난해 11월 22일 곰 사육농장에서 탈출한 반달가슴곰 5마리 중 지금까지 포획되지 않은 마지막 1마리였다.
당시 달아난 곰들은 생후 3∼4년가량에 몸무게 70∼80㎏ 정도의 새끼들인 것으로 전해졌다.
이들 가운데 3마리는 당일 발견돼 2마리는 생포되고 1마리는 사살됐다. 이튿날 발견된 1마리도 사살됐다.
당국은 남은 곰 1마리의 행방을 찾지 못하다가 4개월 만인 지난달 28일 용인시 처인구 호동 예직마을 뒷산에서 곰을 발견하고 포획 작업을 벌였으나 실패했다.
이날 마지막 남은 곰 1마리가 잡히면서 사육농장 탈출 곰 포획 작업은 5개월 만에 마무리됐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