벌에 쏘이지 않으려면 밝은색 옷을 입지 말아야 한다는 일반적인 인식과는 다른 조사 결과가 나왔다. 독성이 강한 말벌은 밝은색보다 검은색에 더 강한 공격적 성향을 보인다는 것이다.
8일 국립공원관리공단에 따르면 지난 6~9월 가야산국립공원 등에서 등검은말벌과 털보말벌 등의 벌집을 건드려 공격 성향과 벌집 관리, 먹이원 등을 조사·분석한 결과 말벌은 사람의 가장 높은 부위인 머리 부분을 먼저 공격하고, 머리카락 등 검은색 털이 있는 곳을 집중 공격하는 성향을 보였다. 말벌의 공격성은 검은색, 갈색, 빨간색, 초록색, 노란색 순으로 강했다. 검은색이나 갈색에 강한 공격성을 보이는 것은 천적인 곰·오소리·담비 등의 색상에 기인한 것으로 추정된다.
이에 따라 공단은 야외 활동 시 밝은 계열의 옷과 모자를 착용하는 것이 오히려 말벌 공격에서 안전하다고 조언했다.
말벌은 일상적인 음악·대화 등 소리에는 별다른 반응을 보이지 않았지만 약한 진동에도 수십 마리가 벌집 밖으로 나오는 등 민감하게 반응했다. 벌집이 달린 기둥이나 나무에 충격을 주는 행위는 매우 위험하다는 것이다.
말벌집을 건드렸을 때는 머리를 감싼 후 벌집에서 직선거리로 20m 이상 떨어진 곳으로 빠르게 피하는 것이 좋다.
세종 박승기 기자 skpark@seoul.co.kr
8일 국립공원관리공단에 따르면 지난 6~9월 가야산국립공원 등에서 등검은말벌과 털보말벌 등의 벌집을 건드려 공격 성향과 벌집 관리, 먹이원 등을 조사·분석한 결과 말벌은 사람의 가장 높은 부위인 머리 부분을 먼저 공격하고, 머리카락 등 검은색 털이 있는 곳을 집중 공격하는 성향을 보였다. 말벌의 공격성은 검은색, 갈색, 빨간색, 초록색, 노란색 순으로 강했다. 검은색이나 갈색에 강한 공격성을 보이는 것은 천적인 곰·오소리·담비 등의 색상에 기인한 것으로 추정된다.
이에 따라 공단은 야외 활동 시 밝은 계열의 옷과 모자를 착용하는 것이 오히려 말벌 공격에서 안전하다고 조언했다.
말벌은 일상적인 음악·대화 등 소리에는 별다른 반응을 보이지 않았지만 약한 진동에도 수십 마리가 벌집 밖으로 나오는 등 민감하게 반응했다. 벌집이 달린 기둥이나 나무에 충격을 주는 행위는 매우 위험하다는 것이다.
말벌집을 건드렸을 때는 머리를 감싼 후 벌집에서 직선거리로 20m 이상 떨어진 곳으로 빠르게 피하는 것이 좋다.
세종 박승기 기자 skpark@seoul.co.kr
2016-09-09 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