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등학교 ‘납 범벅’ 우레탄트랙 주의보

초등학교 ‘납 범벅’ 우레탄트랙 주의보

박승기 기자
박승기 기자
입력 2016-03-22 22:40
수정 2016-03-23 00:35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25곳 중 13곳 중금속 오염…기준치 106배 검출된 트랙도

초등학교에 설치된 우레탄트랙 2곳 중 1곳에서 기준치를 넘는 납 성분이 검출됐다.

환경부는 지난해 5~12월 서울과 경기 등 수도권 초등학교 30곳의 운동장 인조잔디와 우레탄트랙에 대해 중금속 등 유해물질 실태를 조사한 결과 트랙 25개 중 13개에서 한국산업표준(KS) 기준치(90㎎/㎏)를 초과한 납이 검출됐다고 22일 밝혔다.

초등학교 30곳 중 25곳은 인조잔디와 트랙이 설치됐고, 5곳은 인조잔디만 있었다. 인조잔디에서는 중금속이 기준치 이내로 검출됐다.

트랙 25곳 가운데 2010년 11월 KS 제정 이전 설치된 제품은 70%가 기준을 초과했고 최대 기준치의 106.5배에 달하는 9585㎎의 납이 검출되기도 했다. KS 제정 이후 설치된 15곳 중 6곳도 기준치를 초과했다.

환경부는 제품 자체에 하자가 있거나 트랙을 빨리 굳게 하기 위해 납을 추가했기 때문으로 추정하고 있다. 안료 중 함유된 중금속이나 주변 환경요인 등의 영향을 받았을 가능성도 제기된다.

환경부는 납, 카드뮴, 크롬 등 6가지 중금속과 환경호르몬인 프탈레이트 7종의 함유량을 조사했다.

프탈레이트 검사에서는 플라스틱 제품을 유연하게 하려고 첨가하는 디에틸핵실프탈레이트(DEHP) 1종만 검출됐다. 식품용기에 이어 2006년 플라스틱 재질의 완구 및 어린이용 제품에 사용이 금지됐다. 현재 프탈레이트에 대한 KS 기준치는 없다.

환경부가 30개 초등학교 어린이 93명을 대상으로 트랙이나 인조잔디 이용으로 노출될 수 있는 유해물질 위해성을 평가한 결과 DEHP와 납의 위해성이 일부 우려되는 수준으로 나타났다. 이들의 평균 DEHP 발암위해도는 평생 노출됐을 때 10만명당 1명이 암에 걸릴 확률을 초과해 10만명당 3.29명이 암에 걸릴 위험성이 있는 수준으로 나타났다. 납 위해도는 평균 1.24로, 하루 최대 허용량보다 1.24배 많이 노출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11월 기준으로 전국 초등학교 6011곳 중 트랙이 설치된 학교가 1323곳, 인조잔디가 설치된 곳은 795곳이다.

서흥원 환경보건정책과장은 “중금속이 과다하게 검출된 트랙은 교체를 해야 하고, 동시에 야외활동 후 반드시 손을 씻는 등 어린이 행동요령 지도가 필요하다”면서 “교육부와 협의해 추가 조사 및 관리 대책을 마련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세종 박승기 기자 skpark@seoul.co.kr
2016-03-23 1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전과자의 배달업계 취업제한 시행령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강력범죄자의 배달원 취업을 제한하는 내용의 시행령 개정안이 의결된 가운데 강도 전과가 있는 한 배달원이 온라인 커뮤니티에 “속죄하며 살고 있는데 취업까지 제한 시키는 이런 시행령은 과한 ‘낙인’이다”라며 억울함을 호소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전과자의 취업을 제한하는 이런 시행령은 과하다
사용자의 안전을 위한 조치로 보아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