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 교사 11% 정보공개 거부 “제자 등 불순한 의도 접근 우려”
스승의 날이면 각 지방교육청 홈페이지의 ‘그리운 선생님 찾기’를 통해 동급생들끼리 옛 스승을 찾아 인사하곤 한다. 그러나 이것도 각박한 인심에 밀려 좋은 취지가 퇴색되고 있다.
13일 경북도교육청이 조사한 자료에 따르면 올해 경북 지역 초·중·고 전체 교사(2만 3346명) 가운데 11%가량인 2568명이 재직 중인 학교의 연락처 등 정보가 인터넷에 공개되는 것을 원치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지난해 전체 교사(2만 3428명)의 9%가량(2178명)이 정보 공개를 거부한 것과 비교해 2% 포인트 늘어난 것이다. 6년 전인 2005년(비공개율 2%)과 비교하면 6배 가까이 늘어난 수치다. 도시 지역인 대구는 비공개율이 훨씬 더 높아 올해 전체 초·중·고 교사 2만 3000여명 가운데 무려 60%에 이르는 1만 4000명가량이 기본적인 정보 공개를 원하지 않는 것으로 조사됐다.
교사들이 재직 학교나 연락처 등의 공개를 꺼리는 이유는 해마다 불순한 의도로 접근하는 제자나 엉뚱한 사람들이 적지 않기 때문이라는 게 교육 당국의 분석이다.
여기에다 갈수록 개인정보 유출이 사회문제로 대두되면서 교사들의 불안감이 커지고 있는 것도 한몫하고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이에 따라 스승의 날을 맞아 옛 스승을 찾으려면 때때로 교육청에 전화로 문의해 발신자의 신분을 확인받은 뒤 찾으려는 교사의 동의를 얻어서 연락을 취하는 등 번거로운 절차를 거쳐야 하는 상황에 이르렀다.
경북도교육청 관계자는 “교사들이 오랜만에 제자들의 목소리를 들으면 반가운데, 경우에 따라 상품 구매 부탁이나 해코지하겠다는 위협을 받는 일도 있다고 호소한다.”고 말했다. 이어 “제자들이 스승을 더 쉽게 찾을 수 있도록 기본적인 정보 공개를 교사들에게 요청하고는 있지만 강제할 수는 없다.”고 말했다.
대구 한찬규기자 cghan@seoul.co.kr
2011-05-14 1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