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교육방송공사(EBS)는 수험생들이 이용하는 EBSi 수능강의 사이트(www.ebsi.co.kr)가 20∼22일 3차례에 걸쳐 디도스(DDos) 공격을 받은 사실이 있어 경찰에 수사를 의뢰했다고 22일 밝혔다.
EBS에 따르면 EBS는 지난 20일 오후 10시부터 디도스 공격이 발생한 사실을 확인한 뒤 비정상적인 접속 로그를 확인, 서버 리부팅 및 디도스 방어장비 설정을 조정해 다음날인 21일 오전 2시께 사이트를 정상화시켰다.
하지만 21일 오후 6시16분부터 제2차 디도스 공격이 시작돼 EBSi 로딩장애가 발생하자 EBS는 방송통신위원회에 협조요청을 보내고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와 협의해 KISA의 디도스 클린 존(사이버 대피소)을 통해 수험생들이 우회 접속하도록 유도, 오후 7시40분께 사이트를 재차 정상화시켰다.
그러나 같은 날 오후 10시50분부터 EBSi 수능강의 사이트의 강의목록에 대한 집중적인 디도스 공격이 또다시 발생, 사이트 장애가 22일 오전 0시40분까지 지속됐다.
EBS는 지속적인 디도스 공격에 따라 수험생과 일반학생 피해가 심각한 상황이라며 관련 기관과 공동으로 디도스 공격의 원인이 된 주요 IP주소를 파악해 경찰청 사이버수사대에 신고했다고 밝혔다.
한편 전국 4년제 대학의 협의체인 한국대학교육협의회 홈페이지도 지난 16일 오후 5시부터 1시간 가량 디도스 공격을 받아 접속이 늦려지는 현상이 빚어졌던 것으로 뒤늦게 알려졌다.
연합뉴스
EBS에 따르면 EBS는 지난 20일 오후 10시부터 디도스 공격이 발생한 사실을 확인한 뒤 비정상적인 접속 로그를 확인, 서버 리부팅 및 디도스 방어장비 설정을 조정해 다음날인 21일 오전 2시께 사이트를 정상화시켰다.
하지만 21일 오후 6시16분부터 제2차 디도스 공격이 시작돼 EBSi 로딩장애가 발생하자 EBS는 방송통신위원회에 협조요청을 보내고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와 협의해 KISA의 디도스 클린 존(사이버 대피소)을 통해 수험생들이 우회 접속하도록 유도, 오후 7시40분께 사이트를 재차 정상화시켰다.
그러나 같은 날 오후 10시50분부터 EBSi 수능강의 사이트의 강의목록에 대한 집중적인 디도스 공격이 또다시 발생, 사이트 장애가 22일 오전 0시40분까지 지속됐다.
EBS는 지속적인 디도스 공격에 따라 수험생과 일반학생 피해가 심각한 상황이라며 관련 기관과 공동으로 디도스 공격의 원인이 된 주요 IP주소를 파악해 경찰청 사이버수사대에 신고했다고 밝혔다.
한편 전국 4년제 대학의 협의체인 한국대학교육협의회 홈페이지도 지난 16일 오후 5시부터 1시간 가량 디도스 공격을 받아 접속이 늦려지는 현상이 빚어졌던 것으로 뒤늦게 알려졌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