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학생 수준보다 낮다고 지적돼 온 경찰관 체력검정 기준이 강화된다.
경찰청은 이런 내용의 ‘경찰공무원 체력관리 규칙’ 등 체력 검정과 관련된 경찰청 훈령 3개의 개정안이 경찰위원회에서 의결됐다고 22일 밝혔다.
경찰은 경찰관의 자율적인 체력 관리를 유도하고 현장에 강한 경찰상을 구현하고자 지난해 7월부터 체력 검정제를 도입해 검정 결과를 인사고과에 반영했다. 하지만 기준이 지나치게 낮다는 지적이 일었다.
국회 행정안전위원회 유정현 의원은 작년 국정감사 때 지난해 9월 말까지 검정을 마친 경찰관 4978명 중 1,2등급이 94.4%에 이른다고 밝혔다.
윗몸 일으키기의 경우 24세 이하 남자 경찰관이 1등급을 받으려면 1분에 50회 이상만 하면 되지만 남자 중학교 3학년생은 1분당 56회 이상이어야 가장 높은 점수를 받을 수 있는 등 기준이 터무니없이 낮다는 지적을 받았다.
이번에 훈령 개정으로 강화된 기준은 24세 이하 남자 경찰관이 1등급을 받으려면 윗몸일으키기는 1분에 56회 이상, 팔굽혀 펴기는 1분에 51회 이상(기존 47회 이상)을 해야 한다. 악력(손으로 물건을 쥐는 힘)도 기존 53㎏ 이상에서 55㎏ 이상으로, 1200m 달리기는 4분 48초 이하에서 4분 35초 이하로 강화됐다.
인터넷서울신문 event@seoul.co.kr
경찰청은 이런 내용의 ‘경찰공무원 체력관리 규칙’ 등 체력 검정과 관련된 경찰청 훈령 3개의 개정안이 경찰위원회에서 의결됐다고 22일 밝혔다.
경찰은 경찰관의 자율적인 체력 관리를 유도하고 현장에 강한 경찰상을 구현하고자 지난해 7월부터 체력 검정제를 도입해 검정 결과를 인사고과에 반영했다. 하지만 기준이 지나치게 낮다는 지적이 일었다.
국회 행정안전위원회 유정현 의원은 작년 국정감사 때 지난해 9월 말까지 검정을 마친 경찰관 4978명 중 1,2등급이 94.4%에 이른다고 밝혔다.
윗몸 일으키기의 경우 24세 이하 남자 경찰관이 1등급을 받으려면 1분에 50회 이상만 하면 되지만 남자 중학교 3학년생은 1분당 56회 이상이어야 가장 높은 점수를 받을 수 있는 등 기준이 터무니없이 낮다는 지적을 받았다.
이번에 훈령 개정으로 강화된 기준은 24세 이하 남자 경찰관이 1등급을 받으려면 윗몸일으키기는 1분에 56회 이상, 팔굽혀 펴기는 1분에 51회 이상(기존 47회 이상)을 해야 한다. 악력(손으로 물건을 쥐는 힘)도 기존 53㎏ 이상에서 55㎏ 이상으로, 1200m 달리기는 4분 48초 이하에서 4분 35초 이하로 강화됐다.
인터넷서울신문 event@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