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든 직무 해임·출당·제명 당 정치국회의에서 공식화
북한이 장성택 국방위원회 부위원장에 대한 숙청을 공식화했다.북한은 지난 8일 김정은 국방위원회 제1위원장이 참석한 가운데 노동당 정치국 확대회의를 열어 장성택을 모든 직무에서 해임하고 당으로부터 출당·제명하기로 결정한 뒤 9일 조선중앙통신과 노동신문을 통해 대내외에 발표했다.
![끌려 나가는 ‘2인자’](https://img.seoul.co.kr/img/upload/2013/12/09/SSI_20131209171042.jpg)
연합뉴스
![끌려 나가는 ‘2인자’](https://img.seoul.co.kr//img/upload/2013/12/09/SSI_20131209171042.jpg)
끌려 나가는 ‘2인자’
북한 김정은 체제의 ‘2인자’였던 장성택(가운데) 국방위원회 부위원장이 지난 8일 열린 노동당 정치국 확대회의에서 해임 및 출당, 제명 결정 후 인민보안원들에게 현장에서 체포되는 사진을 조선중앙TV가 9일 공개했다.
연합뉴스
연합뉴스
조선중앙통신은 이날 ‘정치국 확대회의에 관한 보도’에서 “장성택 일당은 당의 통일 단결을 좀먹고 당의 유일적 영도체계를 세우는 사업을 저해하는 반당·반혁명적 종파행위를 감행하고 강성국가 건설과 인민생활 향상을 위한 투쟁에 막대한 해독을 끼치는 반국가적, 반인민적 범죄행위를 저질렀다”고 밝혔다.
조선중앙TV는 이날 노동당 정치국 확대회의에서 모두가 지켜보는 가운데 장성택이 체포되는 모습을 공개, 당과 내각 등 권력지도부에서 측근으로 분류되는 인물들에 대한 숙청 작업을 예고했다.
북한이 이날 반당·반혁명적 종파분자로 낙인찍으면서 ‘장성택 일당’이란 용어를 사용한 것은 김 제1위원장이 직접 지도하는 노동당에 반기를 들었다는 의미다. 일반적인 반국가행위를 넘어 ‘역심’을 품은 죄에 더 가깝다.
향후 김 제1위원장의 유일 지배체제는 더욱 공고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김정은 체제의 양대 축이었던 최룡해 군 총정치국장의 영향력이 커질 것으로 보이지만 그도 언제든지 숙청 대상에 오를 수 있다는 점에서 당분간 자세를 낮출 것으로 관측된다.
검찰과 국가안전보위부, 인민보안부 등 북한의 3대 공안기관을 관장하는 당 행정부는 해체돼 당 조직지도부에 흡수·통합될 가능성이 높아졌다. 조직지도부는 북한 고위층에 대한 인사권에 3대 공안기관 관할권까지 쥐고 명실상부한 최고권력기관으로 부상하게 될 전망이다. 김 제1위원장은 당 조직지도부를 장악하는 것만으로도 당과 군, 공안기관을 예전보다 더 강력하고 손쉽게 통제할 수 있게 됐다. 공포정치를 기반으로 한 김정은 시대의 ‘2막’이 오른 셈이다. 다만 급격히 커진 최룡해의 영향력을 제대로 통제하지 못한다면 향후 정권이 불안정해질 수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북한은 당분간 내부 결속을 위해 남북관계에 대해서도 강경한 자세를 취할 것으로 예상된다. 장성택이 핵과 미사일 개발을 반대해 강경파와 노선갈등을 빚었고, 이로 인해 이번 일이 촉발됐다는 분석도 있어 강경파가 득세한다면 당분간 군사도발 위협이 증대할 가능성도 높다.
이현정 기자 hjlee@seoul.co.kr
2013-12-10 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