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주민들과 군 병사들의 탈북을 저지하기 위한 북·중 국경지대의 군 경비태세가 대폭 강화되고 있다. 북한 군이 접경지대에 병력을 추가 배치하는가 하면, 중국 군은 조기경보기 등을 증파해 북한 동향을 상시 감시하는 체계를 구축한 것으로 알려졌다.
미국 워싱턴포스트(WP)는 21일(현지시간) 북한 김정은 체제 출범 이후 탈북자들의 중국 유입을 막기 위한 집중 단속이 부쩍 강화됐다고 보도했다. WP에 따르면 북한 당국은 2만여명의 군인들을 북·중 국경지대에 추가 배치했다. 이 군인들은 이전에 국경을 지키던 군인들에 비해 탈북을 시도하는 사람들로부터 ‘뇌물’을 받지 않는다는 특징이 있다고 한국 내 탈북지원단체 관계자의 말을 인용해 전했다.
이 때문에 중국을 거쳐 한국으로 들어오는 탈북자들의 수가 급속히 줄어들고 있다. 중국을 거쳐 한국에 입국한 탈북자 수는 지난해 2706명이었으나, 올 상반기에는 전년보다 42%가 줄어든 751명에 그쳤다. 이는 지난 15년간 증가 일로에 있던 것을 감안하면 매우 대조적이다.
일본 요미우리신문은 22일 북한군 병사와 항공기의 탈북을 막기 위해 중국이 국경지대의 경비태세를 강화했다고 밝혔다. 신문은 홍콩 인권단체인 ‘중국인권민주화운동 뉴스센터’를 인용해 중국 군이 지난주 초부터 조기경보기 4대를 북·중 국경지대에 증파해 북한군의 동향을 24시간 감시하고 있다고 전했다. 중국 군은 이에 따라 지난 17일 이후 동북부 지린(吉林)성 공군기지에서 북한 항공기의 영공 침범에 대비한 긴급 훈련을 8차례나 실시했다.
김규환 선임기자 khkim@seoul.co.kr
미국 워싱턴포스트(WP)는 21일(현지시간) 북한 김정은 체제 출범 이후 탈북자들의 중국 유입을 막기 위한 집중 단속이 부쩍 강화됐다고 보도했다. WP에 따르면 북한 당국은 2만여명의 군인들을 북·중 국경지대에 추가 배치했다. 이 군인들은 이전에 국경을 지키던 군인들에 비해 탈북을 시도하는 사람들로부터 ‘뇌물’을 받지 않는다는 특징이 있다고 한국 내 탈북지원단체 관계자의 말을 인용해 전했다.
이 때문에 중국을 거쳐 한국으로 들어오는 탈북자들의 수가 급속히 줄어들고 있다. 중국을 거쳐 한국에 입국한 탈북자 수는 지난해 2706명이었으나, 올 상반기에는 전년보다 42%가 줄어든 751명에 그쳤다. 이는 지난 15년간 증가 일로에 있던 것을 감안하면 매우 대조적이다.
일본 요미우리신문은 22일 북한군 병사와 항공기의 탈북을 막기 위해 중국이 국경지대의 경비태세를 강화했다고 밝혔다. 신문은 홍콩 인권단체인 ‘중국인권민주화운동 뉴스센터’를 인용해 중국 군이 지난주 초부터 조기경보기 4대를 북·중 국경지대에 증파해 북한군의 동향을 24시간 감시하고 있다고 전했다. 중국 군은 이에 따라 지난 17일 이후 동북부 지린(吉林)성 공군기지에서 북한 항공기의 영공 침범에 대비한 긴급 훈련을 8차례나 실시했다.
김규환 선임기자 khkim@seoul.co.kr
2012-07-23 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