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3년 방미 때와 같은 숙소 묵어…펜타곤 방문해 내놓을 메시지 주목
박근혜 대통령의 미국 워싱턴 방문은 취임 첫해인 2013년 5월 이후 2년 5개월 만이다. 두 차례 모두 한·미 정상회담을 위한 공식 실무방문이다. 이번에도 박 대통령은 첫 번째처럼 한국전 참전 기념비를 찾아 헌화하는 것으로 첫 일정을 시작했다. 올해로 조성 20년을 맞는 한국전참전 기념공원은 한·미 동맹을 가장 대표적으로 상징하는 고정된 장소로, 우리나라 대통령을 비롯한 정부와 군 및 사회 주요인사 등이 워싱턴을 방문할 때마다 가장 먼저 찾았다. 박 대통령은 2005년 당 대표로 워싱턴을 방문했을 때도 이곳을 들렀으며, 매번 “여러분의 희생을 잊지 않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한국전 참전기념비는 앞으로도 한·미 간 행사에서 주요한 장소로 활용될 전망이다.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은 2013년 현직 대통령으로는 처음으로 한국전 정전 60주년 행사에 참석해 한국전에 대해 “비긴 전쟁이 아니라 승리한 전쟁”이라고 규정하며 특별한 의미를 부여했다.박 대통령의 숙소는 이번에도 영빈관인 블레어 하우스(Blair House)다. 부친인 박정희 전 대통령도 1965년 미국을 공식 방문했을 때 여기서 묵었고 우리나라 다른 대통령들도 워싱턴 방문 때 이곳을 숙소로 이용해 왔다. 이런 점에서 주철기 외교안보수석은 2013년 5월 브리핑에서 “한·미 동맹의 과거와 미래를 잇는 가교를 상징하기도 한다”고 말했다.
백악관과 펜실베이니아 대로를 사이에 두고 맞은편에 있는 블레어 하우스는 타운하우스 형태의 건물 4채를 가리킨다. 제2차 세계대전 중이던 1942년 현안 협의를 위한 외국 귀빈들의 방문이 잇따르자 프랭클린 루스벨트 전 대통령은 공식 영빈관을 마련할 필요성을 느끼고 개인 소유였던 이 건물을 사들였다. 일부 미국 대통령이 취임식을 앞두고 이곳에서 하룻밤을 묵기도 했다.
한편 박 대통령의 첫 워싱턴 방문에서 미국 의회 상·하원 합동연설이 특별히 주목받는 행사였다면, 이번에는 미국 국방부(펜타곤) 방문이 꼽히고 있어 어떤 메시지가 나올지 주목된다.
워싱턴 이지운 기자 jj@seoul.co.kr
2015-10-15 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