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제츠·왕자루이 만날 듯
지미 카터 전 미국 대통령이 이끄는 ‘엘더스(The Elders) 그룹’ 방북단의 일정이 시작되면서 이들의 활동이 과연 6자회담 재개 등 한반도 정세의 변곡점을 만들어낼 수 있을지 주목되고 있다.카터 전 대통령 일행은 23일 밤 전용기 편으로 베이징에 도착한 것으로 알려졌다. 26일 평양에 들어가기 전까지 베이징에 머물며 중국 고위인사들과 6자회담 재개방안 등을 논의할 것으로 보인다. 양제츠 외교부장과 중국 측 6자회담 수석대표인 우다웨이(武大偉) 한반도사무 특별대표 면담은 사실상 확정됐고, 최고지도자급 인사들과의 면담도 추진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리창춘(李長春) 상무위원을 수행해 아프리카를 순방 중인 왕자루이(王家瑞) 공산당 대외연락부장도 귀국 즉시 카터 전 대통령 일행을 만날 것으로 알려졌다. 베이징의 외교소식통은 “중국 측 입장을 들어보고, 평양에 들어가겠다는 엘더스그룹 측의 요청이 있었던 것으로 알고 있다.”면서 “북한을 설득할 다양한 카드를 확보하려는 차원으로 해석된다.”고 말했다.
이들의 방북 전 방중 활동이 주목되는 것은 비록 미 정부의 뜻과는 무관한 ‘사적 방문’이긴 하지만 미국 측의 생각이 직간접적으로 전달되면서 미·중 간 6자회담 재개와 관련된 ‘공통분모’가 찾아질 수도 있기 때문이다. 중국은 ‘남북 6자회담 수석대표 회담→북·미 대화→6자회담 재개’의 3단계 방안을 내놓은 바 있다.
우다웨이 특별대표의 방한 일정도 묘하다. 우 특별대표는 카터 일행이 평양에 들어가는 26일 방한, 서울에서 그들의 방북 성과를 들어본 뒤 중국으로 복귀할 예정이다. 뭔가 기대감을 갖고 있다는 얘기다. 카터 일행이 김정일 국방위원장을 만나 6자회담을 재개할 수 있는 중대한 ‘메시지’를 갖고 올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보인다. 일각에서는 중국 측이 카터 일행에게 김 위원장을 설득할 수 있는 방안을 내놓을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오고 있다.
카터 전 대통령 측은 이번 한반도 방문의 목적에 대해 “비핵화를 통해 고조된 한반도 긴장을 완화하고 북한의 심각한 인도주의 실상에 대해 논의하기 위한 것”이라고 밝혔다. 한반도 비핵화를 이끌어 낼 수 있는 6자회담이 재개될 수 있도록 하는 데 최대한 노력하겠다는 뜻이다. 한·미 간 움직임도 긴밀하다. 카터 일행의 방북이 시작되는 26일 워싱턴에서는 한·미 차관보급 2+2(외교·국방) 회담이 열린다. 6자회담 재개와 관련된 공조방안이 밀도 있게 논의될 것으로 보인다.
베이징 박홍환특파원
stinger@seoul.co.kr
2011-04-25 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