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병립형 회귀’ 야당 내 이견 못 좁혀
金 의장, 5일까지 획정안 우선 요청
![선거제도 관련 기자회견](https://img.seoul.co.kr/img/upload/2023/12/03/SSC_20231203190846_O2.jpg)
![선거제도 관련 기자회견](https://img.seoul.co.kr//img/upload/2023/12/03/SSC_20231203190846.jpg)
선거제도 관련 기자회견
28일 국회에서 더불어민주당 강득구 의원이 선거제도 개편 관련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비명계(비이재명계·혁신계) 이원욱 의원은 3일 비명계 모임 ‘원칙과상식’ 토론회에서 “(지난 총선 때) 위성정당을 만들지 않았으면 (180석보다) 더 이길 수 있지 않았겠나. 가치를 지키는 게 더 중요하다고 생각한다”고 지적했다.
국민의힘이 병립형 회귀를 주장하며 현행 준연동형 비례제 유지 시 위성정당 창립을 내세우자 민주당 내에서는 갑론을박이 거세다. ‘다당제 강화’ 등 가치 실현을 위해 준연동형 비례제 유지가 필요하지만, 총선 승리를 위해 병립형 회귀는 물론 위성정당과 유사한 ‘선거연합정당’을 만들자는 의견도 나온다.
여야 간 선거제 논의에 성과가 없자 김진표 국회의장은 ‘선거구 획정’을 우선 처리하기로 방침을 바꿨다. 김 의장은 지난 1일 국회의원선거구획정위원회에 제22대 총선에서 적용될 선거구 획정 기준을 통보하고, 5일까지 국회 정치개혁특별위원회(정개특위)에 획정안을 제출할 것을 요청했다. 김 의장은 의원 정수에 대해 국회의원 총원을 300명, 지역구 의원을 253명, 비례대표 의원을 47명으로 하는 ‘현행 유지안’을 제시했다.
선거구 획정위가 5일 정개특위에 획정안을 제출하면 정개특위가 이를 논의한 후 의결한다. 정개특위는 획정위에 한 차례 수정을 요구할 권한이 있다. 획정안이 국회로 넘어오면 총선 출마자를 위한 선거구 가이드라인이 우선 마련되는 셈이다.
이와 관련해 경기 화성·평택·하남, 인천 서구 등 4곳의 선거구는 인구 기준 상한 초과로 분구가 불가피한 지역이다. 반면 인구수가 부족한 선거구 4곳은 의무적으로 합구되는데 경기 안산, 서울 노원·강남, 전남 여수 등이 후보지로 거론된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