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철수 “인재영입 집중”…한국당엔 ‘견제구’

안철수 “인재영입 집중”…한국당엔 ‘견제구’

김태이 기자
입력 2018-03-18 14:04
수정 2018-03-18 16:08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서울시장 출마 확답 안해…“홍준표, 내가 출마할까봐 무서운가”

바른미래당 안철수 인재영입위원장은 18일 “당 전체로 봐서 인재영입에 결과를 만들어서 보여드리는 게 가장 중요한 일로, 당분간 이에 집중하겠다”고 말했다.
돌아온 안철수
돌아온 안철수 바른미래당 안철수 인재영입위원장이 18일 오전 서울 여의도 당사에서 당 복귀에 대한 소회와 지방선거 전략 등에 대한 구상을 밝히고 있다.
연합뉴스
당무 복귀 후 첫 공식 일정으로 이날 여의도 당사에서 기자 간담회를 한 안 위원장은 6·13 지방선거 출마 계획에 대한 질문에 “90일도 남지 않은 지방선거를 위해 당에 꼭 필요한 일은 인재영입이라고 생각했다”면서 이같이 밝혔다.

특히 안 위원장은 최근 자유한국당 홍준표 대표가 ‘안철수 전 대표는 서울시장 선거에 출마해도 3등’이라고 주장한 데 대해 “제가 출마 할까 봐 무섭다는 표현으로 받아들였다”고 각을 세웠다.

또 홍 대표가 직접 영입을 제안했던 이석연 전 법제처장이 공교롭게도 이날 서울시장 선거 불출마 의사를 밝힌 데 대한 기자들의 질문에는 대답 대신 웃음만 보였다.

안 위원장은 이어 야권의 선거연대 가능성에 대해 즉답을 내놓는 대신 “정당 지지가 아무리 높아도 인물이 깨끗하지 않거나 무능하면 지역 주민이 절대 뽑아주지 않는다”면서 “우리 당 후보를 보고 깨끗하고 유능하면 표를 몰아줄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번 지방선거의 최대 변수 중 하나로 떠오른 자신의 서울시장 출마나 한국당과의 연대 가능성에 대해 긍정도, 부인도 하지 않은 채 모든 가능성을 열어 놓은 것으로 풀이된다.

또 유승민 공동대표의 광역단체장 출마설에는 “현 지도부, 당원 모두 선당후사의 마음가짐을 갖고 있을 것”이라면서 “모두 자신이 어떤 역할을 하는 게 당을 위해 가장 좋은지 판단하고 행동할 것”이라고 말했다.

바른미래당 소속이지만 무소속 출마를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진 원희룡 제주지사에 대해서는 “정말 유능하기 때문에 조만간 만나서 허심탄회하게 서로 고민을 나눌 기회가 있을 것”이라고 답했다.

안 위원장은 “어떤 인재들을 영입할 것인가의 가장 중요한 두 가지는 깨끗한 인재, 그리고 유능한 인재를 뽑는 것”이라면서 “다른 정당보다 엄정한 기준으로 인재영입을 하기 위해 클린서약까지도 받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17개 광역 시·도에 후보를 모두 낼 목표를 갖고 열심히 접촉 중”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개헌에 대해서는 “청와대가 대통령의 권한 축소형 개헌이 아니라 임기 연장형 개헌을 내놓은 청개구리식 답변을 했다”면서 “이 중요한 개헌 의제를 지방선거 전략용으로 소비하는 것밖에 안 된다”고 비판했다.

안 위원장은 개헌의 시기와 관련, “지방선거와 같이하는 게 맞다. 그러려면 지금부터 국회가 밤을 새워서라도 치열하게 토론하고 합의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이밖에 안 위원장은 “대북 문제는 현 정부가 정말 잘 끌고 갔고, 국민의 한 사람으로서 박수를 보내고 싶다”면서도 “지금 일자리 정책은 예산을 일하는 사람이 아닌 회사한테 주기 때문에 잘못됐다”고 지적했다.

한편, 안 위원장은 이번 주 청년, 여성, 경제인 등을 중심으로 다양한 인사들을 만나 본격적인 인재영입 활동에 나설 계획이며, 이르면 20일께 ‘영입 인사 1호’를 발표할 가능성도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전과자의 배달업계 취업제한 시행령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강력범죄자의 배달원 취업을 제한하는 내용의 시행령 개정안이 의결된 가운데 강도 전과가 있는 한 배달원이 온라인 커뮤니티에 “속죄하며 살고 있는데 취업까지 제한 시키는 이런 시행령은 과한 ‘낙인’이다”라며 억울함을 호소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전과자의 취업을 제한하는 이런 시행령은 과하다
사용자의 안전을 위한 조치로 보아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