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김정은, ‘탄도미사일 재진입체’ 선전…軍 “아직 확보 못했다”

北김정은, ‘탄도미사일 재진입체’ 선전…軍 “아직 확보 못했다”

입력 2016-03-15 09:46
수정 2016-03-15 09:46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대기권 재진입시 탄두 보호 ICBM 핵심기술…미중러 등 강국 보유

북한이 핵탄두 소형화에 성공했다고 주장한 데 이어 이번에는 대륙간탄도미사일(ICBM)의 대기권 재진입체(RV:Re-entry Vehicle) 기술을 확보했다고 주장해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대기권 재진입체 기술은 지상에서 발사된 ICBM이 대기권을 벗어났다가 재진입하는 기술로 ICBM을 개발하는 데 가장 어렵고 핵심적인 기술로 꼽히고 있다. 이 기술을 확보하고 핵탄두까지 소형화했다면 핵무기 탑재 ICBM은 기술적으로 완성된다.

북한 김정은 국방위원회 제1위원장이 15일 재진입체 기술 완성을 선언한 것은 사실상 핵탄두를 탑재한 ICBM을 미국 본토까지 날려 보낼 수 있는 능력을 갖췄다고 위협하는 발언으로 풀이된다.

우리 군 정보당국은 북한이 아직 재진입체 기술을 확보하지 못한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 북한이 ICBM인 KN-08 미사일을 한 번도 발사한 적이 없는 등 외부에 기술을 공개하지 않았다는 것을 이런 판단의 주요 근거로 삼고 있다. 특히 북한이 이날 ‘환경모의시험’을 통해 재진입체 기술을 성공시켰다고 주장한 것에 대해서도 일단 ‘시뮬레이션’ 수준으로 평가절하하는 분위기다.

조선중앙통신은 이날 김정은 제1위원장의 참관 아래 “탄도로케트 전투부첨두(탄두)의 대기권 재돌입 환경모의시험을 성공적으로 진행했다”고 보도했다. 이 자리에서 김 제1위원장은 “군사대국들이라고 자처하는 몇 개 나라에서만 보유하고 있는 대기권 재돌입 기술을 자력 자강의 힘으로 당당히 확보했다”고 주장했다.

재진입체는 중·장거리 미사일이 대기권 밖으로 나갔다가 다시 들어갈 때 발생하는 엄청난 열과 충격으로부터 탄두를 보호하는 기능을 한다. 미국과 중국, 러시아, 인도 등 소수 핵무기 보유국가에서만 확보한 기술이다.

지상에서 발사된 ICBM이 대기권을 벗어났다가 재진입할 때 섭씨 6천∼7천도의 엄청난 고열이 발생하는데 탄두를 둘러싼 재진입체는 증발 작용을 일으켜 열을 흡수함으로써 탄두의 폭발을 방지한다. 증발 과정에서 재진입체가 마모될 때도 표면이 균일하게 깎여나가야만 탄두를 제대로 보호할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탄두 외피 재질은 탄소섬유를 기본으로 한다. 숯을 고강도로 압축시킨 재료로 강도는 다이아몬드와 비슷하다.

이런 재료와 기술이 안정적으로 적용된 탄두는 원뿔형이다. 원뿔형 탄두는 대기권 재진입 과정에서 마찰열을 줄이고 탄두가 일정한 방향으로 탄착 지점에 정확하게 떨어지도록 한다.

재진입체를 만드는 데 필요한 특수재료는 북한이 수입할 수 없는 거래금지 품목으로 지정되어 있다. 북한은 제3국을 통해 은밀히 이런 재료와 기술을 수입했을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군의 한 관계자는 “북한은 아직 재진입체 기술을 확보하지 못한 것으로 평가하고 있다”며 “북한이 재진입체 시험을 했다고 주장하는 것도 무력을 과시하기 위한 선전 차원인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북한이 설사 재진입체 기술을 확보했다고 하더라도 노동, 무수단 등 중거리 미사일급이며 ICBM급 재진입체 기술을 확보하는 데는 상당한 시간이 걸릴 것으로 군사전문가들은 보고 있다.

이 때문에 북한이 탄도미사일 재진입체 기술을 확보했다고 주장하는 것은 국제사회의 대북 제재와 한미 연합훈련에 맞선 일종의 ‘핵공갈’ 차원으로 군은 평가하고 있다.

그러나 일부 전문가들은 북한이 지난 9일 핵탄두 기폭장치로 보이는 구형 물체를 공개하며 핵탄두 소형화에 성공했다고 주장한 데 이어 ICBM의 재진입체 기술 성공까지 주장한 것으로 미뤄 북한의 주장을 마냥 무시해서는 안 된다고 주장하고 있다.

실제 소형화된 핵무기를 개발했고 이를 탄도미사일에 탑재할 수 있는 수준까지 도달한 것으로 봐야 한다는 것이다.

북한이 재진입체 기술을 확보했다고 선전하는 것은 사실 여부를 떠나 장거리 미사일 개발에 주력하고 있음을 스스로 보여준 것으로도 볼 수 있다.

군 당국은 김 제1위원장이 “빠른 시일 안에 핵탄두 폭발시험과 핵탄두 장착이 가능한 여러 종류의 탄도 로케트 시험발사를 단행할 것”이라고 밝힌 점에도 주목하고 있다.

북한이 곧 5차 핵실험과 장거리 미사일 발사를 포함한 무력 도발에 나설 수 있음을 예고한 것이기 때문이다.

군 관계자는 “북한이 언제든지 핵실험과 장거리 미사일 발사에 나설 수 있다고 보고 예의주시하고 있다”며 “북한이 무모한 불장난에 나설 경우 자멸을 재촉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전과자의 배달업계 취업제한 시행령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강력범죄자의 배달원 취업을 제한하는 내용의 시행령 개정안이 의결된 가운데 강도 전과가 있는 한 배달원이 온라인 커뮤니티에 “속죄하며 살고 있는데 취업까지 제한 시키는 이런 시행령은 과한 ‘낙인’이다”라며 억울함을 호소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전과자의 취업을 제한하는 이런 시행령은 과하다
사용자의 안전을 위한 조치로 보아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