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외투쟁 장기화 부담… 거부할 명분도 없어

장외투쟁 장기화 부담… 거부할 명분도 없어

입력 2013-09-14 00:00
수정 2013-09-14 00:18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민주당 수용 배경은

민주당이 일단 박근혜 대통령의 여야 3자회담 제의를 수용한 가장 주요한 배경은 역설적으로 이를 거부할 명분이 약해서였다. 전날 청와대의 회담 제의에 결정을 유보했던 것은 사전조율이 부족하다고 봤기 때문이다. 물밑 대화가 진행되기는 했지만, 의제 등에 대해 어느 정도 합의가 이뤄지지 않는 터여서 ‘일방통행식 제의’로 받아들일 측면이 많았다. 민주당으로서는 만남보다는 결과물이 중요한데, 이 내용에 대한 합의 없이 회담을 받을 수도 없는 처지였다.

그러나 한편으로는 장외투쟁을 더 이어가는 것이 큰 부담이었다. 원내외 병행투쟁이라고 해도 13일은 민주당이 장외투쟁을 시작한 지 45일째이고, 김한길 대표가 노숙투쟁에 나선 지도 18일째다. 1년 가운데 야당의 최대 농사라 할 수 있는 정기국회와 국정감사 등을 소홀히 할 수도 없는 상황이다. 설령 이를 희생해서 극한투쟁을 이어가더라도 국가정보원 개혁이라는 소기 성과를 거둘 수 있을지도 장담할 수 없는 상황이다.

때문에 민주당으로서는 3자 회담에서 대통령과의 담판을 통해 성과를 얻어내거나 그게 힘들다면, 국정원 개혁에 소극적인 박근혜 대통령의 태도를 국민에게 알리는 것도 나름의 성과일 수 있다고 판단한 듯 보인다. 국가정보원 댓글 의혹 국정감사에 구체적인 성과가 부족하다는 지적이 나오지만, 민주당은 그래도 국정원 댓글 의혹 사건에 대한 국민적 공감대를 얻었다고 평가하고 있다.

결국 민주당으로서는 회담에서 얼마나 성과를 거둘 수 있는지가 당면과제로 떠올랐다. 이날 김 대표도 “회담의 형식보다는 내용이 중요하다. 국정원 개혁 등 민주주의 회복에 대한 대통령의 의지를 드러내 보이는 회담이 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다만 당내에서는 예상되는 회담의 성과를 놓고 심한 갈등을 겪고 있다. 예컨대 당내 강경파들은 남재준 국정원장의 해임 등을 필수조건으로 내놓고 ‘얻어내지 못할 것 같으면 회담에 나가지 말라’고 당 지도부를 압박하고 있다. 협상 실무진들의 의제 조율 결과가 더욱 주목되는 이유다.

김효섭 기자 newworld@seoul.co.kr

2013-09-14 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전과자의 배달업계 취업제한 시행령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강력범죄자의 배달원 취업을 제한하는 내용의 시행령 개정안이 의결된 가운데 강도 전과가 있는 한 배달원이 온라인 커뮤니티에 “속죄하며 살고 있는데 취업까지 제한 시키는 이런 시행령은 과한 ‘낙인’이다”라며 억울함을 호소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전과자의 취업을 제한하는 이런 시행령은 과하다
사용자의 안전을 위한 조치로 보아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