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올해 하반기부터 6·25 전쟁 기간 북한으로 끌려간 민간인 현황을 직권조사할 예정이다.
국무총리실 산하 ‘6·25전쟁 납북피해 진상규명·납북피해자 명예회복위원회’ 관계자는 “위원회는 그간 납북피해 신고에 대해서만 납북여부를 심사해 왔다”며 “이제 신고가 없어도 정부 직권으로 납북피해 사례를 발굴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정부는 전후 발간된 6가지 종류의 납북 명부 등을 바탕으로 6·25전쟁 전시납북자 수를 약 10만명으로 추정하고 있다.
그중 강화나 여주 등 납북 피해가 집중된 경기도 일부 지역에서 납북 사례를 발굴하기 위한 표본 조사를 올 하반기부터 연말까지 진행할 예정인 것으로 알려졌다.
조사내용은 2015년 상반기 중 발간되는 ‘6·25전쟁 납북피해 진상조사 보고서’에 포함될 예정이다.
연합뉴스
국무총리실 산하 ‘6·25전쟁 납북피해 진상규명·납북피해자 명예회복위원회’ 관계자는 “위원회는 그간 납북피해 신고에 대해서만 납북여부를 심사해 왔다”며 “이제 신고가 없어도 정부 직권으로 납북피해 사례를 발굴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정부는 전후 발간된 6가지 종류의 납북 명부 등을 바탕으로 6·25전쟁 전시납북자 수를 약 10만명으로 추정하고 있다.
그중 강화나 여주 등 납북 피해가 집중된 경기도 일부 지역에서 납북 사례를 발굴하기 위한 표본 조사를 올 하반기부터 연말까지 진행할 예정인 것으로 알려졌다.
조사내용은 2015년 상반기 중 발간되는 ‘6·25전쟁 납북피해 진상조사 보고서’에 포함될 예정이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