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누리당은 10일 ‘보육대란’의 원인으로 지적되는 현행 무상보육 지원체계를 개선하기로 했다.
신의진 원내대변인은 브리핑에서 “부모가 직접 아이를 키우는 것을 활성화하는 쪽으로 지급방식을 개선하기로 했다”며 “부모가 양육수당이든 보육료든 지원 방식을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도록 하겠다는 것”이라고 말했다.
현재 만 0∼2세 영아를 보육시설에 맡기면 모든 소득계층에 대해 보육료를 지원하지만, 가정에서 키우면 소득하위 15%에만 양육수당이 지급된다. 그러다 보니 보육시설 수요만 급증시켰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신 의원은 “만 2세 이하는 시설보다 가정에 보육하는 게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의 권고사항이기도 하다”며 “향후 당정협의를 거쳐 개선책을 마련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다만, 4ㆍ11총선 공약으로 제시한 ‘만 0~5세 영유아 무상보육’ 원칙에는 변함이 없다고 설명했다.
그는 “소득에 관계없이 보육료를 지원하고 양육수당 지급을 확대하는 데 소요되는 총예산은 그대로 유지하기로 했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신의진 원내대변인은 브리핑에서 “부모가 직접 아이를 키우는 것을 활성화하는 쪽으로 지급방식을 개선하기로 했다”며 “부모가 양육수당이든 보육료든 지원 방식을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도록 하겠다는 것”이라고 말했다.
현재 만 0∼2세 영아를 보육시설에 맡기면 모든 소득계층에 대해 보육료를 지원하지만, 가정에서 키우면 소득하위 15%에만 양육수당이 지급된다. 그러다 보니 보육시설 수요만 급증시켰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신 의원은 “만 2세 이하는 시설보다 가정에 보육하는 게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의 권고사항이기도 하다”며 “향후 당정협의를 거쳐 개선책을 마련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다만, 4ㆍ11총선 공약으로 제시한 ‘만 0~5세 영유아 무상보육’ 원칙에는 변함이 없다고 설명했다.
그는 “소득에 관계없이 보육료를 지원하고 양육수당 지급을 확대하는 데 소요되는 총예산은 그대로 유지하기로 했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