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북정상회담 양해각서 서명”
![](https://img.seoul.co.kr/img/upload/2012/06/20/SSI_20120620010933.jpg)
![](https://img.seoul.co.kr//img/upload/2012/06/20/SSI_20120620010933.jpg)
임 전 실장이 밝힌 양해의 핵심은 북한이 국군포로와 납북자 일부를 송환하고 남한은 그 대가로 경제적 지원을 하는 한국판 ‘프라이카우프’였다. 그는 “국군포로, 이산가족, 납북자 문제들에 대한 북측의 인도적 조치에 상응해 우리가 식량이나 기타 물품들을 지원하는 문제에 대해 상응하는 조치의 형식이었다.”고 소개했다.
남북 간 양해각서의 최종 합의는 남북 당국 간 회담으로 넘어갔으며, 남북 당국 간 비공식 회담이 한 달 뒤인 2009년 11월 개성에서 열렸다. 하지만 최종 합의가 이뤄지지 못했고 이듬해 3월 천안함 폭침 사건이 일어나면서 합의는 더 이상 진행되지 못했다.
이범수기자 bulse46@seoul.co.kr
2012-06-20 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