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위관계자 “지금 관망중”
청와대 고위 관계자는 22일 “북한으로서는 김정일 국방위원장 사망이 비핵화나 대남 정책을 바꿀 수 있는 기회”라면서 “북이 앞으로 어떤 남북 관계를 원하느냐, 북이 비핵화에 어떤 입장을 정리해 나오느냐에 따라 우리가 입장을 정할 수 있는 폭이 넓어졌다.”고 말했다.이 관계자는 “북한의 새로운 지도체제가 (대남 정책과 관련해) 어떤 입장을 정해 나오는지를 봐야 대응전략을 정할 수 있을 것”이라면서 “지금은 ‘관망 모드’”라고 말했다. 이 같은 언급은 북한의 김정은 체제가 안착되면서 대남 정책 기조가 바뀌면 우리도 유연하게 이에 조응할 수 있도록 준비하고 있다는 뜻으로 해석된다. 이명박 대통령이 이날 여야 대표·원내대표와의 회담에서 “북한 사회가 안정되면 남북 관계는 얼마든지 유연하게 할 여지가 있다.”고 밝힌 것도 같은 맥락이라고 이 관계자는 전했다.
이 관계자는 특히 천안함·연평도 사건의 책임과 관련, “김정은 부위원장이 자기 아버지에게 보고를 안 하고 저지른 일인지, 아니면 다른 의사결정 과정을 통해 벌어진 일인지 확실한 정보는 갖고 있지 않다.”면서 “다만 최종 책임은 당 총서기이고, 중앙군사위원장인 김정일 국방위원장에게 있다고 봐야 한다.”고 말했다. 이는 향후 북측 태도에 따라 천안함·연평도 사건의 ‘출구’에서도 보다 전향적 자세를 취할 수 있음을 내비친 것으로 해석돼 주목된다.
그는 북한의 변화와 관련, “예단할 수 없지만 신년사를 비롯해 각종 대남 메시지나 향후 새 지도체제 인선 등에서 북한의 입장을 가늠해볼 수 있지 않겠느냐.”고 내다봤다.
그는 이 대통령과 후진타오 중국 주석의 전화통화 불발에 대해 “중국과 통화가 될 것이라는 기대를 한 것은 아니며, 중국은 정상끼리 전화하는 것에 대해 익숙하지 않다.”고 해명했다.
김성수기자 sskim@seoul.co.kr
2011-12-23 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