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정희 전 대통령이 1972년 국가안보를 근거로 국가비상사태를 선포했지만 미국에는 북한의 남침 위협을 부정했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야권의 중진 정치인들의 모임인 ‘민주평화복지포럼’이 5.16 군사정변을 주제로 14일 서울 프레스센터에서 개최한 학술 토론회 자료집에 따르면 박명림 연세대 교수는 이 토론회에서 미국 중앙정보국(CIA) 비망록 등을 근거로 이같이 주장했다.
박 교수는 “비상사태 선포 직후 박 전 대통령은 하비브 주한 미국대사에게 ‘남침이 임박했다는 조짐이 없다는 점을 알고 있다’고 말했다”며 “결국 반공태세 확립은 유신체제 수립의 명분이 될 수 없었음을 말해준다”고 분석했다.
또 “비망록에는 박정희 정권이 10월 유신 개헌 전에 북한에 이 계획을 미리 알려줬다고 기록돼 있다”며 “북한도 한동안 남한의 체제변경을 비난하지 않은 점 등에 비춰 박 전 대통령의 집권연장에 사실상 동의했던 것으로 보인다”고 덧붙였다.
연합뉴스
야권의 중진 정치인들의 모임인 ‘민주평화복지포럼’이 5.16 군사정변을 주제로 14일 서울 프레스센터에서 개최한 학술 토론회 자료집에 따르면 박명림 연세대 교수는 이 토론회에서 미국 중앙정보국(CIA) 비망록 등을 근거로 이같이 주장했다.
박 교수는 “비상사태 선포 직후 박 전 대통령은 하비브 주한 미국대사에게 ‘남침이 임박했다는 조짐이 없다는 점을 알고 있다’고 말했다”며 “결국 반공태세 확립은 유신체제 수립의 명분이 될 수 없었음을 말해준다”고 분석했다.
또 “비망록에는 박정희 정권이 10월 유신 개헌 전에 북한에 이 계획을 미리 알려줬다고 기록돼 있다”며 “북한도 한동안 남한의 체제변경을 비난하지 않은 점 등에 비춰 박 전 대통령의 집권연장에 사실상 동의했던 것으로 보인다”고 덧붙였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