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니발과 한리버의 나라, 또다른 기적 만들자”

“한니발과 한리버의 나라, 또다른 기적 만들자”

입력 2012-07-09 00:00
수정 2012-07-09 00:16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칼레드 엘 아르비 공공조달위원장

“한니발의 나라와 한리버(Han River·한강)의 나라가 손을 잡고 일하면 또 하나의 기적이 일어나지 않겠습니까?”

이미지 확대
칼레드 엘 아르비 공공조달위원장
칼레드 엘 아르비 공공조달위원장
튀니지 정부의 조달 업무를 총괄하는 칼레드 엘 아르비 공공조달최고위원회 위원장은 지난달 27일 인터뷰에서 경제, 문화 등 다양한 분야에서 한국과 튀니지가 협력해 나가기를 바란다고 강조했다.

→튀니지는 IT 인프라가 주변국에 비해서 좋은 편이다. 특별한 이유가 있나.

-우리는 한국처럼 나라가 작고, 자원이 부족하다. 그래서 교육에 특별히 많은 관심을 기울였다. 그런 맥락에서 IT 쪽에도 관심을 기울였고, 인프라를 구축해 왔다.

→아프리카에서 처음으로 전자 조달 시스템을 구축하게 되는데.

-사실 우리가 유럽과 가깝기 때문에 프랑스나 이탈리아, 독일, 터키 같은 나라들이 자국의 시스템을 우리가 도입해 주기를 원했다. 그러나 우리는 한국의 시스템에 대해 신뢰를 갖고 있기 때문에 파트너로 결정했다(한국의 ‘나라 장터’는 2005년 유엔에서 최고의 전자 조달 시스템으로 선정된 바 있다).

→전자 조달 시스템이 구축되면 튀니지에 어떤 변화가 일어날까.

-이 사업은 튀니지 정부 전체를 전자정부로 만드는 출발점으로 봐야 한다. 일단 전자 조달 시스템이 구축되면 정부의 투명성이 크게 향상될 것으로 기대한다.

→기업들은 어떤 이익을 볼 수 있을까.

-중소기업들의 입찰 참여가 활성화될 수 있을 것이다. 입찰에 소요되는 시간을 줄일 수 있고, 튀니스가 아닌 지방 업체들도 쉽게 참여할 수 있게 된다.

→한국인들과 일하면서 어떤 느낌을 받았나.

-솔직하고 직선적이며, 진지하고, 명확하다. 시간 낭비를 하지 않고, 정리를 잘한다. 함께 일하면서 배울 것이 많은 좋은 파트너다.

→향후 한국과 어떤 분야에서 협력하기를 바라나.

-IT를 비롯한 경제와 문화 분야에서 협력하기를 바란다. 우리는 단순한 원조를 바라지 않는다. 한국과 튀니지 두 나라에 서로 이익이 되는 관계를 원한다. 예를 들면, 우리는 최근 대우조선해양에서 세계 최대규모의 카페리 호 ‘타닛’(Tanit)을 인수했다. 문화 쪽에서도 교류가 활발해질 수 있다. 한국 사람들은 한니발을 좋아한다고 들었다. 그리고 튀니지 사람들은 드라마를 통해 한국의 문화를 접하고 있다.

인터뷰를 마친 엘 아르비 위원장은 기자에게 큼지막한 책 한 권을 선물했다. ‘튀니지, 3000년의 역사’라는 제목이 달려 있었다.

튀니스 이도운 논설위원 dawn@seoul.co.kr

2012-07-09 1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전과자의 배달업계 취업제한 시행령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강력범죄자의 배달원 취업을 제한하는 내용의 시행령 개정안이 의결된 가운데 강도 전과가 있는 한 배달원이 온라인 커뮤니티에 “속죄하며 살고 있는데 취업까지 제한 시키는 이런 시행령은 과한 ‘낙인’이다”라며 억울함을 호소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전과자의 취업을 제한하는 이런 시행령은 과하다
사용자의 안전을 위한 조치로 보아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