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g.seoul.co.kr/img/upload/2024/04/12/SSC_20240412000906_O2.jpg)
![](https://img.seoul.co.kr//img/upload/2024/04/12/SSC_20240412000906.jpg)
“눈물이 쏙 들어가고 웃음이 났다. 무거운 고민들이 이곳에 들어서는 순간 깃털이 되는 것을 몇 번 경험했다. 힘들 때 물리적으로 기댈 수 있는 곳, 그곳에서 말했다. 엄마도 돌봄이 필요해요.”
소설가 김하율의 신작으로 작가의 경험을 바탕으로 한 자전적 장편소설이다. 마흔넷에 갑작스럽게 둘째를 갖게 된 프리랜서 워킹맘 ‘하율’의 이야기를 담은 솔직하고 유쾌한 가족 시트콤이다. 아이를 낳아 돌보는 일의 기쁨과 슬픔, 행복과 설렘을 따뜻한 목소리로 전한다. 204쪽. 1만 6800원.
![](https://img.seoul.co.kr/img/upload/2024/04/12/SSC_20240412000907_O2.jpg)
![](https://img.seoul.co.kr//img/upload/2024/04/12/SSC_20240412000907.jpg)
“경험은 끊임없이 기대를 배반하며 미리 준비한 방법이나 이론을 넘어서거나 그로부터 흘러넘치곤 한다.”
문학 연구를 처음 시작하는 사람들에게 길잡이가 될 책이다. 점점 알쏭달쏭해지는 현대의 문학을 독해할 사상적 도구들을 일별해 준다. 1부에서는 언어, 욕망, 세계 등 굵직한 토대를 훑고 2부에서는 최신 문학 이론들을 소개한다. 452쪽. 2만 8000원.
![](https://img.seoul.co.kr/img/upload/2024/04/12/SSC_20240412000908_O2.jpg)
![](https://img.seoul.co.kr//img/upload/2024/04/12/SSC_20240412000908.jpg)
“사마귀는 왜 몸속에 연가시를 키우는가. 당신은 왜 암에게 당신의 낡은 아기집을 내주었는가. 아니, 애초에 왜 언니와 나에게 그 아기집을 빌려주었나. 왜 몸에다 다른 삶을 키우는 것이 얼마나 아픈 일인지를 알게 했는가.”
안톤 허 번역가가 “한국 문학에 대해 글을 쓰려고 할 때 가장 먼저 생각나는 사람”이라 상찬했던 박서련 작가의 첫 청소년소설집. 작가는 특유의 생기 넘치는 상상력과 활달한 언어로 청소년들이 또래 관계에서 겪을 법한 갈등과 유대, 여기서 파생되는 미묘한 감정의 물결들을 세심히 포착해 냈다. 204쪽. 1만 4500원.
2024-04-12 2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