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 팔거산성 목조 집수지. 문화재청 제공](https://img.seoul.co.kr/img/upload/2023/05/08/SSC_20230508171940_O2.jpg)
문화재청 제공
![대구 팔거산성 목조 집수지. 문화재청 제공](https://img.seoul.co.kr//img/upload/2023/05/08/SSC_20230508171940.jpg)
대구 팔거산성 목조 집수지.
문화재청 제공
문화재청 제공
팔거산성은 대구 금호강 북편 유역에 있는 함지산 정상부에 축조됐다. 남쪽으로 대구 분지가 한눈에 보이고 금호강과 과거 주요 교통로였던 영남대로가 교차하는 길목을 감시할 수 있어 신라 왕경(신라시대 수도로 지금의 경주) 서쪽의 가로축 방어체계를 담당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축성 양식에선 신라시대 산성에서 보편적으로 나타나는 현문(사다리를 타고 올라가야만 접근할 수 있도록 높게 조성된 문)식 구조와 곡성(성벽 밖으로 군데군데 내밀어 쌓은 둥근 돌출부) 등이 확인된다.
팔거산성 내 목조 집수지(물 또는 빗물을 저장하는 시설물)는 신라시대 산성 집수지 발달사에 중요한 자료로 학술 가치가 뛰어나다. 문화재청은 팔거산성에 대해 30일간의 예고기간에 의견을 수렴하고 문화재위원회 심의를 거쳐 국가지정문화재 사적으로 최종 지정할 예정이다.
2023-05-09 2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