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백신외교 견제 위해 7억弗 추가 출연
일본 정부가 세계보건기구(WHO)가 주도하는 코로나19 백신 국제 공동구매 프로젝트인 ‘코백스 퍼실리티’에 최대 7억 달러(약 7874억원) 추가 출연을 검토하는 것으로 알려졌다.12일 요미우리신문에 따르면 일본 정부는 이 같은 방침을 다음달 2일 세계백신면역연합(GAVI)과 공동으로 온라인으로 진행하는 백신 정상 회의에서 공식적으로 밝힐 계획이다.
일본 정부는 자국 백신 시노팜을 이용해 ‘백신 외교’를 진행 중인 중국에 대항하기 위한 목적에서 코백스 추가 출연에 나선 것으로 알려졌다. 중국은 시노팜을 빈곤국에 공급하며 영향력을 키우고 있지만 자체 백신이 없는 일본으로서는 중국의 이 같은 움직임을 견제하는 게 쉽지 않다. WHO가 지난 7일 시노팜의 긴급 사용을 승인하면서 중국의 백신 외교가 한층 더 탄력을 받게 됐고 일본의 위기감은 더욱 커지게 됐다.
일본으로서는 국제사회에서 중국에 밀리지 않기 위해 코백스 활용이 절실한 상황이다. 선진국은 백신 제조사와 개별 계약으로 백신 물량을 확보하지만 빈곤국은 백신 구매가 어려워 코백스에 의존하고 있다. 일본은 현재까지 코백스에 2억 달러를 출연했지만 규모는 미국(25억 달러), 독일(9억 7100만 달러), 영국(7억 3500만 달러) 등에 이어 6위에 그친다. 이 때문에 일본 정부 관계자는 “출자액을 늘리고 존재감을 보여야 한다”고 말하기도 했다.
밖으로 백신 외교에 열심이지만 정작 국내 백신 접종은 차질을 빚으면서 국민 불만은 커지는 상황이다. 지난 10일부터 65세 이상 고령자에 대한 백신 접종이 시작됐지만 예약 폭주로 접수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는 데다 이런 틈을 노린 백신 사기 행각까지 판치는 상황이다.
김진아 기자 jin@seoul.co.kr
2021-05-13 1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