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CMP “尹당선인 中 자극 가능성”
상하이 장기 봉쇄로 中企도 타격
미중 패권 경쟁 심화와 중국 상하이 봉쇄 장기화로 한국 기업들의 어려움이 커진 가운데 ‘한미 공조’를 중시하는 윤석열 국민의힘 후보가 대통령에 당선되면서 기업들이 중국 시장 철수를 심각하게 고려하고 있다는 보도가 나왔다.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는 24일 “한반도에 사드(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가 배치된 2017년을 전후해 중국 정부가 한한령(한류제한령)을 내렸고 ‘(미중) 두 나라 가운데 한 곳을 택하라’는 압박이 거세진 상황에서 상하이까지 한 달 가까이 봉쇄되자 상당수 한국 기업이 중국의 사업 환경에 의문을 품고 다른 나라로 떠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고 전했다. 박상민 상하이상공회의소 부회장은 “특히 상하이 시내에 있는 중소기업들은 (주민 이동 금지령으로) 심각한 타격을 받았다”고 토로했다. 중국 내 상당수 전문가는 ‘한국이 사드를 철수하지 않는 한 중국도 한한령을 풀지 않을 것’으로 본다.
여기에 보수 성향의 윤 당선인은 미국과 일본에 정책협의대표단을 파견했음에도 중국 일정을 잡지 않고 있다. 역대 대통령 당선인이 새 정부 출범 전 미일중러 4국에 특사단을 보내 외교 정책을 조율했던 것에 비춰 볼 때 이례적이다. 코로나19 유행에 따른 봉쇄 조치를 고려했다고 하지만 윤석열 정부 외교 우선순위에서 중국이 뒤로 밀려 있음을 보여 준다는 것이 정치권 안팎의 해석이다. 앞서 윤 당선인은 후보 시절 “필요하면 ‘추가 사드 배치’도 검토하겠다”고 공언한 바 있다. 한국의 새 정부는 미국과의 협력을 강화하며 한반도 문제를 관리할 가능성이 크고 이는 중국 지도부를 더 자극할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오는 이유다.
2022-04-25 8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