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금 쥐어짜기·‘트루스소셜’ 상장… 파산 위기 탈출 모색하는 트럼프

모금 쥐어짜기·‘트루스소셜’ 상장… 파산 위기 탈출 모색하는 트럼프

이재연 기자
이재연 기자
입력 2024-03-25 00:15
수정 2024-03-25 00:15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6000억원 공탁 않으면 자산 압류
“뉴욕 타워 팔리면 민주당만 신나”
지지자 지갑 더 열게 할지 미지수
우회상장 지분 가치 4조원 예상

이미지 확대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
자산 부풀리기 사기 의혹 재판 항소심 진행 등으로 파산 위기에 내몰린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이 강도 높은 지지자 모금과 자신이 세운 적자투성이 소셜미디어(SNS) ‘트루스소셜’ 상장을 통해 기사회생을 모색하고 있다.

트럼프 전 대통령은 지난 주말 사이 지지자들에게 연이어 보낸 메일에서 ‘민주당은 트럼프타워를 점유하고 싶어 한다’면서 ‘그렇게 되면 그들은 여러분 같은 지지자들이 나를 포기할 것이라고 여긴다. 그들이 틀렸다는 걸 증명해야 한다’며 모금을 요청했다. 트럼프 측이 항소 진행을 위해 25일까지 4억 5400만 달러(약 6000억원) 이상을 법원에 공탁하지 않으면 검찰이 뉴욕 트럼프타워 등 자산 압류에 들어갈 수 있는 점을 들어 위기감을 고조시킨 것이다.

그는 다음달 공화당 후보 확정 이후 처음으로 대형 모금 행사를 연다. 스티브 윈 전 윈리조트그룹 회장, 헤지펀드 억만장자 로버트 머서 부녀, 석유재벌 해럴드 햄 등 자산가들이 초청 명단에 들어가 있다. 이런 독려가 지지자들의 지갑을 더 열게 할지는 미지수다. 그의 고액 기부자 중 한 명인 켈리 레플러 전 조지아주 상원의원은 “기부 피로감이란 게 있기 마련”이라며 “우리는 모금이 아니라 두 후보(조 바이든 대통령과 트럼프 전 대통령)의 차이점을 이해시키는 데 주력해야 한다”고 했다.

지난 22일 특수목적법인 디지털 월드 애퀴지션(DWAC)이 주주총회를 열고 트루스소셜 모회사인 트럼프 미디어&테크놀로지그룹(TMTG)과의 합병을 승인하면서 트루스소셜 우회상장도 가능해졌다. 이번 주부터 뉴욕 증시에 종목코드 ‘DJT’로 트루스소셜 거래가 시작되는데, 이 경우 트럼프 전 대통령은 보유 지분으로 30억 달러(4조원)를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그러나 지분을 전량 매각할 수 있을지 불확실하고, 주가 폭락 가능성 등 변수도 상존한다.

2024-03-25 1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전과자의 배달업계 취업제한 시행령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강력범죄자의 배달원 취업을 제한하는 내용의 시행령 개정안이 의결된 가운데 강도 전과가 있는 한 배달원이 온라인 커뮤니티에 “속죄하며 살고 있는데 취업까지 제한 시키는 이런 시행령은 과한 ‘낙인’이다”라며 억울함을 호소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전과자의 취업을 제한하는 이런 시행령은 과하다
사용자의 안전을 위한 조치로 보아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