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한시 전화·앱 등으로 체온보고 특단책 보건관리에 보고 없으면 공안 개입 가능 사망자 97%가 우한 속한 후베이성 주민 후베이성 외 지역 첫 도시 봉쇄 조치도
하지만 당국 초기 은폐로 신종코로나 확산 병원 부족한 봉쇄지역 외려 버려진 도시로 위험 알렸던 의사 사망, 당국 책임론 확산
6일 서울의 한 영화관에서 직원들이 방역 작업을 하고 있다. AP통신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6일 서울의 한 영화관에서 직원들이 방역 작업을 하고 있다. AP통신
중국 우한시 보건당국이 도시 통제에도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확산이 멈추지 않자 우한시 1100만명의 시민 모두에게 매일 체온을 재 보고토록 하는 대책까지 빼들었다. 이를 지키지 않으면 공안이 개입할 수 있다는 점도 분명히 했다.
하지만 보건당국이 처음에 20여일간 정보 은폐를 하면서 확진자가 크게 늘었고, 이후 병원이 부족한데도 도시 통제로 인근 지역의 병원을 이용할 수 없었다는 점에서 우한시민들의 불만은 높은 상태다.
7일 차이나데일리에 따르면 우한시 당국은 전날 우한 시민은 모두 매일 1회씩 체온을 재야 한다는 방침을 발표했다.
또 체온 이상이 있으면 보건 당국에 연락을 해야 하며 방문 진단 결과에 따라 확진자의 경우 집중치료나 격리를 하게 된다. ‘만일 체온을 재지 않는 경우 당국이 법에 따라 강제조치를 취할 수 있다’고도 명시했다. 해당 소식을 보도한 비즈니스인사이더는 “체온 측정 결과는 전화, 앱 등을 이용해 보건 관리에게 보고하게 된다”며 “이런 대책은 신종 코로나의 발원을 원천적으로 통제하려는 것”이라고 해석했다.
전세계 신종 코로나의 사망자는 638명으로 늘어난 가운데 발원지인 우한이 포함된 후베이성에서 618명(96.8%)이 죽었다. 어제 하루만 사망자가 70명이었다. 전세계 확진자는 3만 1372명이었고 이중 중국이 3만 1106명(99.2%)를 차지했다. 세계적으로 확진자가 나온 국가는 28개로 중국에 이어 일본(45명), 싱가포르(28명), 태국(25명), 홍콩(24명) 한국(23명) 대만(16명) 순이다.
중국 정부는 도시 봉쇄책을 확대하고 있다. 후베이성 이외 도시에 처음으로 봉쇄령이 내려졌다. 지난 6일 저장성 정부 공고에 따르면 웨칭시는 지난 4일 오후 6시에 봉쇄됐다. 지난달 23일 우한을 봉쇄한 뒤 후베이성 대부분의 도시로 봉쇄 조치를 확산시켰고 이제 다른 지역까지 확대한 것이다.
이미지 확대
7일(현지시간) 일본 요코하마 다이코쿠 피어 크루즈 터미널에 정박해 있는 대형 크루즈선 ‘다이아몬드 프린세스’호의 승객들이 나와 있다. 이 배 탑승객 중 20명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확진자인 상태다. 로이터 연합뉴스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7일(현지시간) 일본 요코하마 다이코쿠 피어 크루즈 터미널에 정박해 있는 대형 크루즈선 ‘다이아몬드 프린세스’호의 승객들이 나와 있다. 이 배 탑승객 중 20명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확진자인 상태다. 로이터 연합뉴스
하지만 무증상 감염이 가능한 신종 코로나의 특징을 감안할 때 이미 바이러스가 퍼진 지역을 봉쇄할 경우, 다른 지역으로 확산 가능성은 크게 줄지만 봉쇄한 해당 도시는 외려 ‘버려진다’는 분석도 나온다. 후베이성의 경우 봉쇄 정책에도 확진자나 사망자 수는 크게 줄지 않고 있는 상황이다. 국제보건기구(WHO) 등도 봉쇄정책은 오히려 방역망을 피해 몰래 이동하는 확진자가 생기면서 성공하지 못하는 경우도 많다고 보고 있다.
바이러스 확산을 줄이려면 도시 봉쇄책은 어쩔 수 없는 선택이지만, 그에 따른 역효과도 적지 않아 중국 당국이 진퇴양난에 빠진 형국이 됐다. 게다가 중국 보건 당국은 지난해 12월 3일 발병 보고를 받고도 27일이 지난 31일에야 공식 발표를 했다. 공식 발표 때도 “사람간 전파는 확인되지 않았다”고 해 지탄을 받고 있다. 당국의 늑장 대처로 확진자가 늘어나는 부분이 있다는 점에서 시민들의 불만이 큰 상황이다. 특히 우한에서 신종 코로나가 퍼지고 있다는 것을 처음으로 알렸다가 오히려 괴담 유포자로 몰렸던 의사 리원량(34)이 같은 병으로 투병하다 세상을 떠났다. 시민들은 그에게 ‘영웅’이라는 칭호와 함께 중국 당국이 사과해야 한다며 당국의 책임론을 제기하고 있다.
이경주 기자 kdlrudwn@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