킴 베이신저 등 유명인들 동물 보호 앞장
PETA “캠페인 성공적… 모피 산업 둔화”![모피 반대 캠페인 벌이는 PETA. AFP 연합뉴스](https://img.seoul.co.kr/img/upload/2020/02/06/SSI_20200206172509_O2.jpg)
AFP 연합뉴스
![모피 반대 캠페인 벌이는 PETA. AFP 연합뉴스](https://img.seoul.co.kr//img/upload/2020/02/06/SSI_20200206172509.jpg)
모피 반대 캠페인 벌이는 PETA.
AFP 연합뉴스
AFP 연합뉴스
국제 동물보호단체인 ‘동물을 윤리적으로 대우하는 사람들’(PETA)은 1990년부터 모피 반대 캠페인을 위해 수많은 유명인의 옷을 벗겼다. 킴 베이신저, 패멀라 앤더슨, 에바 멘데스 등 할리우드 배우부터 데니스 로드먼 같은 스포츠 스타들까지 “차라리 벌거벗겠다”며 앞장섰다. 그러나 한편에선 선정적이라는 비판이 쏟아졌다. 30년간 화제와 논란을 몰고 다닌 이 캠페인을 PETA는 더이상 진행하지 않기로 했다. 거둘 수 있는 성취를 다 이뤘다는 판단에서다.
PETA는 최근 보도자료를 통해 캠페인 종료를 선언했다. 이 운동을 처음 구상했던 댄 매슈스 PETA 수석부대표는 “우리가 타도하려던 모피 산업이 (성장세가 둔화하는) 역사적인 순간에 도달했다”면서 “한 캠페인이 성공해서 단체가 이를 끝내는 건 매우 드문 일”이라고 말했다.
‘모피를 입느니 차라리 벌거벗겠다’는 도발적인 구호는 1980년대 후반 PETA의 나체 운동가들이 일본 모피 박람회에서 썼던 표어다. 매슈스는 1990년 세계에서 가장 성공한 여성 밴드로 꼽혔던 ‘고고스’를 기용해 이 문장을 넣은 현수막을 들고 찍은 이들의 누드 사진을 포스터로 만들어 팔아 거둔 수익금을 동물보호에 썼다. 이는 유명인사들이 비영리 단체를 위해 옷을 벗은 시초가 됐다.
크리스티 털링턴, 타이라 뱅크스 등 슈퍼모델들도 동참했다. 베이신저와 알렉 볼드윈의 딸인 모델 아일랜드 볼드윈은 엄마 뒤를 이어 최근 사진을 찍었다. 패멀라 앤더슨의 전남편인 머틀리크루 드러머 토미 리는 전 부인보다 먼저 ‘밍크 말고 잉크’라는 표어와 함께 문신으로 가득한 알몸을 드러내기도 했다.
5일(현지시간) CNN에 따르면 모피를 대하는 세계인의 태도는 확실히 캠페인이 시작된 뒤 급격히 달라졌다. 프라다, 샤넬, 버버리 등 패션업체들과 빅토리아 베컴 등 유명 디자이너들이 공개적으로 ‘퍼 프리’를 선언하고 합성피혁을 채택했다. 엘리자베스 2세 영국 여왕도 오랜 세월 사랑했던 모피를 버렸다. 미국 대형 백화점 체인인 메이시스도 2021년까지 모피 매장을 폐점하기로 했다. 미국 캘리포니아에선 처음으로 모피 판매가 금지됐고 동물 가죽에 대해 더 엄격한 금지나 규제를 부과하는 흐름이 전 세계로 퍼졌다. 일부 유럽 국가들은 모피 생산을 목적으로 밍크, 여우, 토끼 등 동물을 사육하는 것을 불법화하기도 했다.
대표적인 캠페인을 끝낸 PETA는 이제 모피에 집중됐던 운동 역량을 다른 분야로 분산할 예정이다. 매슈스 부대표는 “이제 모피를 아래로 내리고 폭력적인 가죽과 양모 거래를 폭로하는 쪽에 노력을 투입할 것”이라고 말했다.
김민석 기자 shiho@seoul.co.kr
2020-02-07 1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