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 총장 당선 밀어준 중국 눈치보는 듯…교역 제한한 일부 선진국 비난 발언도
![테워드로스 아드하놈 거브러여수스 WHO 사무총장. EPA 연합뉴스](https://img.seoul.co.kr/img/upload/2020/02/05/SSI_20200205183135_O2.jpg)
EPA 연합뉴스
![테워드로스 아드하놈 거브러여수스 WHO 사무총장. EPA 연합뉴스](https://img.seoul.co.kr//img/upload/2020/02/05/SSI_20200205183135.jpg)
테워드로스 아드하놈 거브러여수스 WHO 사무총장.
EPA 연합뉴스
EPA 연합뉴스
4일(현지시간) AFP통신에 따르면 거브러여수스 사무총장은 이날 스위스 제네바에서 열린 WHO 집행이사회 행사에서 “중국의 조치로 신종 코로나가 더 심각하게 해외로 확산하는 것을 막았다”면서 “발병 사례의 99%가 중국에서 일어났다. 다른 나라에서는 176건밖에 없었다”고 강조했다.
되레 거브러여수스 사무총장은 “일부 부유한 국가가 발병 사례 자료를 공유하는 데 협조하지 않고 있다”고 비난했다. 그는 “WHO가 중국 이외의 국가에서는 발병 사례의 38%만 보고서를 제출받았다”면서 “이들 국가가 능력이 부족해서 그런 것은 아닌 것 같다. 더 나은 데이터가 없으면 우리가 적절한 권고를 제공하고 있는지 확인하는 데 어려움을 겪게 된다”고 지적했다. 또 중국에 대한 여행과 교역 제한에 나서서도 안 된다고 요구했다. 그는 “지금까지 대중국 제한 조치에 나선 국가가 22개국이나 된다”면서 “이런 제약은 공포가 늘어나는 결과를 가져올 것”이라고 주장했다.
WHO는 신종 코로나 발생 뒤로 시종일관 중국을 두둔하는 모습을 보여 왔다. 거브러여수스 사무총장은 지난달 29일 기자회견에서도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신종 코로나에 대해 구체적으로 알고 있다는 점과 그가 적극적으로 사태 해결을 위해 노력한다는 점이 매우 고무적”이라고 거듭 칭찬했다.
에티오피아 보건부·외교부 장관을 지낸 거브러여수스는 중국 출신인 마거릿 챈 전 WHO 사무총장이 에볼라 대처 미흡으로 물러난 뒤 후임으로 선출됐다. 선거 당시 중국은 앞으로 10년간 600억 위안(약 10조원)을 WHO에 투자하겠다는 계획을 밝히며 간접 지원했다. 지난달 28일 거브러여수스 사무총장은 신종 코로나 확산을 막고자 중국을 방문했을 때도 첫 일정으로 전염병 현장이 아니라 시 주석이 있는 베이징 인민대회당을 찾아가 눈총을 샀다.
류지영 기자 superryu@seoul.co.kr
2020-02-06 8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