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인 49% “혐한 출판물이 한일관계 악화”

일본인 49% “혐한 출판물이 한일관계 악화”

입력 2014-10-26 00:00
수정 2014-10-26 16:52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일본인의 절반가량은 한국이나 중국을 헐뜯는 내용을 담은 이른바 ‘혐한(嫌韓)·혐중(嫌中) 출판물’이 한일·중일 관계를 악화시킨다고 평가한 것으로 조사됐다.

마이니치(每日)신문이 7월 30일부터 지난달 말까지 우편으로 벌인 여론조사 결과에 따르면 혐한·혐중 콘텐츠를 담은 서적이나 잡지 등을 읽은 경험이 있는 응답자는 전체의 13%였다.

마이니치신문은 일본의 인구를 토대로 환산하면 혐한·혐중 서적을 읽은 사람들이 1천430만 명에 달할 것으로 추정했다.

응답자의 86%는 혐한·혐중 출판물을 읽은 경험이 없다고 답했다.

혐한·혐중 출판물에 대한 의견을 물은 결과(복수 응답 가능) 49%가 한일·중일 관계를 악화시킨다고 답했다.

이들 출판물이 한국이나 중국에 대한 불만·불안을 대변하고 있다는 답변은 30%였고 이런 서적이 팔리는 것이 한심하다는 반응이 18%로 뒤를 이었다.

이밖에 일본에 대한 불만·불안의 배출구 역할을 한다(17%), 출판업계에 돈벌이 만능주의가 판을 치고 있다(14%), 한국이나 중국보다 일본이 좋은 국가라고 알리고 있다(12%)는 등의 의견이 있었다.

혐한·혐중 서적을 읽고 나서 한국이나 중국에 대한 이미지가 나빠졌다는 응답은 48%에 달했다.

이번 조사는 일본 내 16세 이상 남녀 3천600명을 상대로 시행됐으며 회수율은 67%였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전과자의 배달업계 취업제한 시행령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강력범죄자의 배달원 취업을 제한하는 내용의 시행령 개정안이 의결된 가운데 강도 전과가 있는 한 배달원이 온라인 커뮤니티에 “속죄하며 살고 있는데 취업까지 제한 시키는 이런 시행령은 과한 ‘낙인’이다”라며 억울함을 호소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전과자의 취업을 제한하는 이런 시행령은 과하다
사용자의 안전을 위한 조치로 보아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