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은행이 도쿄전력에 돈을 추가로 빌려주는 조건으로 ‘원전 재가동’이나 ‘전기요금 인상’ 등을 제시할 예정이라고 아사히신문이 14일 보도했다.
미쓰이스미토모(三井住友)은행 등은 이르면 내달 추가 융자를 시작하면서 ‘도쿄전력의 경영이 안정되지 않으면 금융기관들끼리 융자 중단을 협의한다’는 내용의 특약 조항을 제시할 방침이다.
도쿄전력이 경영을 안정시키려면 일본 정부가 지난달 승인한 ‘종합특별사업계획’을 어겨서는 안된다는 내용이다. 종합특별사업계획에는 가정용 전기료 인상과 가시와자키카리와(柏崎刈羽) 원전 재가동 등이 포함돼 있다.
일본 은행들은 도쿄전력이 이를 실행하지 않거나 경영 실적이 목표치를 크게 밑돌면 지원 중단을 검토할 계획이다.
일본 은행들이 이처럼 특약 조항을 설정하는 이유는 금융사 주주총회가 이달말로 다가왔기 때문이라고 신문은 전했다. 주주들에게 ‘돈을 돌려받을 수 있다’는 점을 설득해야 한다는 것이다.
미쓰이스미토모 은행 등은 이미 도쿄전력에 3조7천억엔(54조원)을 빌려줬고, 1조700억엔(15조7천억원) 추가 대출을 검토하고 있다. 일본 정부의 공적자금 1조엔(14조6천억원) 투입도 은행권 추가 융자의 전제 조건이다.
연합뉴스
미쓰이스미토모(三井住友)은행 등은 이르면 내달 추가 융자를 시작하면서 ‘도쿄전력의 경영이 안정되지 않으면 금융기관들끼리 융자 중단을 협의한다’는 내용의 특약 조항을 제시할 방침이다.
도쿄전력이 경영을 안정시키려면 일본 정부가 지난달 승인한 ‘종합특별사업계획’을 어겨서는 안된다는 내용이다. 종합특별사업계획에는 가정용 전기료 인상과 가시와자키카리와(柏崎刈羽) 원전 재가동 등이 포함돼 있다.
일본 은행들은 도쿄전력이 이를 실행하지 않거나 경영 실적이 목표치를 크게 밑돌면 지원 중단을 검토할 계획이다.
일본 은행들이 이처럼 특약 조항을 설정하는 이유는 금융사 주주총회가 이달말로 다가왔기 때문이라고 신문은 전했다. 주주들에게 ‘돈을 돌려받을 수 있다’는 점을 설득해야 한다는 것이다.
미쓰이스미토모 은행 등은 이미 도쿄전력에 3조7천억엔(54조원)을 빌려줬고, 1조700억엔(15조7천억원) 추가 대출을 검토하고 있다. 일본 정부의 공적자금 1조엔(14조6천억원) 투입도 은행권 추가 융자의 전제 조건이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