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서 잘나가던 두 여인… 벼랑 끝으로] 바크먼 STOP? 최근 지지율 6%… 스트로폴 이후 반토막

[美서 잘나가던 두 여인… 벼랑 끝으로] 바크먼 STOP? 최근 지지율 6%… 스트로폴 이후 반토막

입력 2011-09-08 00:00
수정 2011-09-08 00:28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선거 책임자 2명 사퇴… 경선완주 먹구름

지난달 13일 미국 아이오와 공화당 대선주자 스트로폴(비공식 예비투표)에서 1위를 차지하며 ‘기린아’로 떠올랐던 미셸 바크먼(55) 하원의원이 급격히 추락하고 있다. 일각에서는 그가 조만간 낙마할 가능성까지 제기하고 있다.

7일(현지시간) 공개된 워싱턴포스트의 여론조사 결과 바크먼은 6%의 초라한 지지율로 전락했다. 한달 전 스트로폴 직후에 비해 지지율이 반토막 난 것이다. 반면 릭 페리 텍사스 주지사는 지지율 27%로 선두를 질주했으며, 미트 롬니(22%) 전 매사추세츠 주지사와 세라 페일린(14%) 전 알래스카 주지사, 론 폴(8%) 하원의원 등이 바크먼보다 앞섰다. 이날 발표된 NBC방송과 폴리티코의 여론조사에서도 바크먼은 하위권을 면치 못했다.

바크먼에게 더 큰 위기는 그의 선거 책임자 2명이 사퇴했다는 것이다. 지난 6월 바크먼 캠프에 합류했던 유명 선거기획자 에드 롤린스와 그의 부하 데이비드 폴리안스키가 2선으로 물러난 것으로 알려졌다. 바크먼은 롤린스의 사퇴가 건강상의 이유라고 밝혔으나, 정치권에서는 바크먼 진영의 동요를 드러내는 것이라는 분석이 지배적이다. 미국에서는 후보가 흔들릴 때 가장 먼저 나타나는 징후가 선거 전략가의 사퇴다.

뉴욕타임스는 “두 명의 선거책임자가 사퇴함에 따라 바크먼이 공화당 대선주자 레이스에서 얼마나 더 버틸 수 있을지에 관한 근본적인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지난해 7월 바크먼의 보좌관 직을 그만둔 론 캐리는 바크먼이 일이 잘 안 풀릴 때 보좌진을 교체하는 성향이 있다고 밝혔다. 바크먼은 2007년 하원의원이 된 이후 무려 6명의 보좌진을 바꿨다는 것이다.

바크먼이 추락하는 가장 큰 원인은 페리의 돌풍이다. 바크먼의 지지기반이었던 ‘티파티’가 페리에 열광하면서 바크먼이 허망하게 주저앉고 있는 것이다. 하지만 아무리 그렇더라도 스트로폴 1위 후보가 이렇게 단기간에 폭락하는 것은 전례가 없는 일이어서 스트로폴의 신뢰도는 한층 떨어지게 됐다.

워싱턴 김상연특파원 carlos@seoul.co.kr

2011-09-08 23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전과자의 배달업계 취업제한 시행령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강력범죄자의 배달원 취업을 제한하는 내용의 시행령 개정안이 의결된 가운데 강도 전과가 있는 한 배달원이 온라인 커뮤니티에 “속죄하며 살고 있는데 취업까지 제한 시키는 이런 시행령은 과한 ‘낙인’이다”라며 억울함을 호소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전과자의 취업을 제한하는 이런 시행령은 과하다
사용자의 안전을 위한 조치로 보아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