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괴된 관저옆 기지 지하 벙커에 있는듯
![](https://img.seoul.co.kr/img/upload/2011/03/22/SSI_20110322032043.jpg)
![](https://img.seoul.co.kr//img/upload/2011/03/22/SSI_20110322032043.jpg)
리비아 국영TV는 이날 수도 트리폴리 외곽 남쪽에 있는 관저가 완전히 파괴됐다고 전했다. 이 건물은 카다피가 평소 국내외 사절을 접견하는 텐트와 불과 50m 떨어진 거리에 있다. 텐트 역시 심각하게 파손됐다. 카다피가 관저와 함께 사용하는 밥 알아지지아 요새에서도 연기가 피어올랐다고 외신들은 전했다. 이 요새는 1986년 4월 미군 집중공습으로 무너진 후 복구돼 카다피와 가족이 실제 거주해 왔다.
카다피가 폭격 당시 관저 안에 있었는지는 확실치 않다. 그동안 카다피는 세력이 확장된 반군과의 교전 과정에서 줄곧 트리폴리에 머문 것으로 추정돼 왔다. 그러나 이번 폭격을 앞두고 그와 측근들은 이미 모처의 지하 벙커로 피신했을 것으로 보인다.
그 증거가 이날 새벽 카다피가 국영TV와의 전화 통화 형식으로 공개한 육성 메시지다. 최근 국영TV 화면에 직접 등장해 항전을 촉구했던 것과는 달리 이날 카다피는 모습을 드러내지 않고 육성으로만 등장했다.
시사주간지 타임도 카다피의 전화 메시지가 발표되자 그가 벙커에 은신해 있는 것으로 간주했다. 카다피 벙커가 리비아 내 어디에 얼마나 존재하는지는 구체적으로 확인되지 않고 있다. 그러나 타임은 카다피가 은신해 있을 가능성이 가장 높은 곳으로 밥 알아지지아 기지 지하 벙커를 꼽았다. 앞서 1986년 미국 레이건 정부가 트리폴리 관저를 공습했을 때에도 15개월된 카다피의 수양딸은 숨졌지만 그는 살아 남았다.
이재연기자 oscal@seoul.co.kr
2011-03-22 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