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 11. 경기 연천 재인폭포 인근에서 마주친 동고비.](https://img.seoul.co.kr/img/upload/2022/12/26/SSI_20221226003849_O2.jpg)
![2021. 11. 경기 연천 재인폭포 인근에서 마주친 동고비.](https://img.seoul.co.kr//img/upload/2022/12/26/SSI_20221226003849.jpg)
2021. 11. 경기 연천 재인폭포 인근에서 마주친 동고비.
그래도 동고비는 사람과 친한 편이다. 새들마다 사람이 가까이 갔을 때 허용하는 거리가 다른데 동고비는 나무에 오르내리는 것에 집중하면 사람이 1m 정도로 가까이 가도 그저 자기 할 일만 할 때도 많다. 좀더 과감한 녀석들은 곤줄박이가 그러듯 사람이 주는 먹이를 와서 덥석 물어 가기도 한다. 나무껍질에 붙은 거미나 곤충을 많이 먹지만 잣 같은 견과류도 좋아한다. 사람이 흘린 과자 부스러기도 잘 먹는다.
등 부분이 전체적으로 회색을 띠고 검은 눈선이 또렷한 동고비는 우리나라의 야산에서 흔히 볼 수 있는 텃새다. 봄에 산에 갔을 때 뭔가 날카로운 휘파람 소리 같은 휫휫휫휫 소리가 난다면 동고비가 있는지 한번 찾아보는 것도 좋다.
짝을 찾을 때는 눈에 잘 띄라고 주로 높은 나무 꼭대기에서 소리를 내지만, 평소에는 먹이를 찾기 위해 머리를 아래로 하고 높지 않은 나무줄기를 타고 다닌다. 그러다가 발은 줄기에 딱 붙인 채로 고개를 드는 동고비 특유의 귀여움을 발산한다.
동고비는 주로 딱따구리가 전에 둥지로 썼던 구멍을 보수해서 둥지로 쓴다고 한다. 그런데 참새 정도로 작은 동고비에 비해 딱따구리의 둥지 구멍은 너무 크기 때문에 진흙을 꼼꼼하게 발라 크기를 줄인다고 한다.
전에 동고비가 드나드는 둥지 구멍을 본 적이 있는데 진흙을 바른 건지 원래 그런 건지 알 수 없도록 매끈하고 꼼꼼하게 단장돼 있었다. 알을 낳아 품는 데 2주 정도, 새끼가 나와 둥지를 떠날 때까지 24일 정도 걸린다는데, 딱따구리 둥지를 보수해 적당한 입구 크기로 만들기까지 한 달 정도가 걸린다고 하니 아늑한 집을 위한 정성이 대단하다.
처음 보는 새나 자주 못 보는 새를 만나는 것도 좋지만 주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새와 갖게 되는 특별한 순간들이 계속 새를 보러 다니게 하는 원동력이 된다. 나무를 거꾸로 걷는 동고비가 고개를 들었을 때 딱 눈이 마주치는 것처럼.
바로 그 순간!
2022-12-26 2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