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연방준비제도이사회(FRB)가 2008년 이래 실시한 양적완화 정책을 연내 축소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자 인도와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태국 등 아시아 신흥시장국과 터키 등에서 금융위기가 우려되고 있다. 가장 심각한 양상을 보이는 인도는 외국인 투자자들이 빠져 나가면서 루피화의 가치가 사상 최저치로 추락했고 증시도 직격탄을 맞고 있다. 인도의 10년 만기 국채금리가 이달 들어 8.92%까지 치솟았으니, 2008년 미국 금융위기 때의 금리 7%와 비교하면 현재 인도의 위기 수준을 가늠할 수 있다. 1997년 여름, 태국의 밧화가 폭락하는 등 외환위기에 시달릴 때, 한국은 “펀더맨털이 튼튼하다”며 안이하게 대응하다가 그해 겨울 외환위기를 겪었다. 그 탓에 태국이 포함된 이번 신흥국의 금융시장 위기설을 강 건너 불구경하듯 할 수 없는 상황이다.
정부는 우리의 7월 외환보유액이 3297억 1000만 달러(약 369조원)로 사상 최고치를 기록하고 있고, 단기외채가 1196억 달러로 준비자산(외환보유액) 대비 37%에 불과한 만큼 크게 걱정할 것이 없다는 입장이다. 금융위기설이 나도는 신흥국과 비교할 때 경상수지도 흑자기조를 유지하고, 환율도 비교적 안정적이며 주식시장도 건실하다는 것이다. 이런 판단에도 정부가 그제 금융권 단기차입 자제령을 내린 것은 바람직하다.
한국은 내수시장이 작은 개방경제 모델로 외부의 충격에 취약하다는 점을 간과해서는 안 된다. 실례로 미국의 양적완화 축소와 중국의 신용 경색에 대한 우려로 외국인의 주식투자 자금이 올 초부터 7월 말까지 모두 8조 6070억원이 빠져 나갔다. 또 상장채권 중에서 7월 말 현재 금융위기설을 겪는 태국이 7조 3860억원, 말레이시아가 7조 3950억원 등 모두 14조 7810억원어치를 보유하고 있는 것도 불안요인이다. 중국과 홍콩도 각각 12조 5070억원과 1조 4150억원 등 약 14조원대의 채권을 가지고 있다. 이들은 전체 외국인 보유 채권의 30%를 차지한다. 이 모두 아시아 신흥국의 금융위기가 걷잡을 수 없게 되면 한국도 안전하다고 보기 어려워지게 할 요인들이다. 과도한 위기감을 조장할 필요는 없지만, 정부는 이번 기회에 미국 양적완화 축소에 선제대응한다는 관점에서 위험요소를 하나씩 점검하길 바란다. 내부적으로 1000조원대에 이르는 가계부채 관리와 세계적 경기 위축에 따른 기업들의 도산 여부 등도 짚어봐야 할 대상이다.
정부는 우리의 7월 외환보유액이 3297억 1000만 달러(약 369조원)로 사상 최고치를 기록하고 있고, 단기외채가 1196억 달러로 준비자산(외환보유액) 대비 37%에 불과한 만큼 크게 걱정할 것이 없다는 입장이다. 금융위기설이 나도는 신흥국과 비교할 때 경상수지도 흑자기조를 유지하고, 환율도 비교적 안정적이며 주식시장도 건실하다는 것이다. 이런 판단에도 정부가 그제 금융권 단기차입 자제령을 내린 것은 바람직하다.
한국은 내수시장이 작은 개방경제 모델로 외부의 충격에 취약하다는 점을 간과해서는 안 된다. 실례로 미국의 양적완화 축소와 중국의 신용 경색에 대한 우려로 외국인의 주식투자 자금이 올 초부터 7월 말까지 모두 8조 6070억원이 빠져 나갔다. 또 상장채권 중에서 7월 말 현재 금융위기설을 겪는 태국이 7조 3860억원, 말레이시아가 7조 3950억원 등 모두 14조 7810억원어치를 보유하고 있는 것도 불안요인이다. 중국과 홍콩도 각각 12조 5070억원과 1조 4150억원 등 약 14조원대의 채권을 가지고 있다. 이들은 전체 외국인 보유 채권의 30%를 차지한다. 이 모두 아시아 신흥국의 금융위기가 걷잡을 수 없게 되면 한국도 안전하다고 보기 어려워지게 할 요인들이다. 과도한 위기감을 조장할 필요는 없지만, 정부는 이번 기회에 미국 양적완화 축소에 선제대응한다는 관점에서 위험요소를 하나씩 점검하길 바란다. 내부적으로 1000조원대에 이르는 가계부채 관리와 세계적 경기 위축에 따른 기업들의 도산 여부 등도 짚어봐야 할 대상이다.
2013-08-23 3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