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소영의 시시콜콜] 예술가의 정년을 몇 살로 볼 것인가

[문소영의 시시콜콜] 예술가의 정년을 몇 살로 볼 것인가

입력 2013-06-19 00:00
수정 2013-06-19 00:2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문소영 논설위원
문소영 논설위원
2003년 9월 29일 경기도 포천의 어느 상갓집에서 꼬박 2시간을 울다 나온 적이 있다. 길눈이 어두워 4대문 안을 벗어나길 싫어하는데도 그날은 오후 5시에 서둘러 이른 퇴근을 해 서울 삼청동에서 포천까지 지하철·버스를 타고 더듬더듬 그 상가를 찾아간 기억이 선연하다. 상가에는 한밤 귀갓길에 음주운전 차량에 치여 세상을 뜬 36살의 ‘친구’ 구본주(1967~2003)가 누워 있었다.

홍익대 조소과 출신인 그는 2002년 예술의전당이 ‘제1회 젊은 작가’로 선정한 전도유망하고 천재적인 조각가였다. 1993년 MBC 한국구상조각대전 대상을 받으며 민중미술의 새로운 지평을 열었다. 그와는 2002년에 처음 만나 의기투합했는데, 속절없이 사라진 그와 그의 재능에 한없이 애통했다. 그러나 구본주의 유가족은 이후 2005년 10월까지 삼성화재와 다투느라 제대로 슬퍼하지도 못했다. 당시 예술인이 꾸린 ‘구본주 대책위’에 따르면 “보험사는 구본주의 죽음을 무직자의 자살로 둔갑시키고, 정년을 터무니없이 앞당기려고 했었다”고 했다. 나중엔 국회의원들이 개입해 유족의 뜻이 관철됐다.

10년이 된 이야기를 끌어내는 이유는 지난 2월 역시 음주운전 차량이 낸 교통사고로 사망한 영화감독 박철수(1948~2013)의 유가족들이 메리츠화재와 민사소송에 들어갔기 때문이다. 요즘 젊은이에게 박 감독은 낯설겠지만, 1996년 영화 ‘학생부군신위’로 사회적인 반향을 일으켰다. 2000년 중반 총감독으로 나섰던 한·중 합작드라마의 결과가 좋지 않아 주춤했지만, 박 감독은 재기를 위해 2013년 개봉을 목표로 영화 ‘생생활활’을 찍고, 마무리 작업 중이었다. 사고 직전 문학계간지 인터뷰에서 그는 “일본의 노()감독들처럼 살아 있는 한 계속해서 영화를 찍을 생각”이라고 밝혔다. 시나리오를 3편이나 준비해 두었다.

그런 상황에서 보험사가 박 감독에게 법정 정년 65세를 적용하겠다고 하니 유가족들이 반발할 수밖에 없다. 도종환 국회의원 측은 “유가족들은 ‘박 감독의 정년이 고작 1년 남았다고 하는 것은 자존심이 상한다. 앞으로 10~20년 이상 창작활동을 할 수 있었다는 것은 인정해달라’고 했다”고 말했다. 도 의원을 비롯해 김현미·유은혜·송호창 등 국회의원 16명은 지난 13일 법원에 “예술가의 특수성을 감안하지 않고 법정 정년 65세를 적용하는 것은 부당하다”고 탄원서를 냈다.

임권택 감독은 77세이고, ‘부러진 화살’의 정지영 감독은 67세인데 청년처럼 활동한다. 세계적인 감독으로 클린트 이스트우드(83), 우디 앨런(78), 프랜시스 포드 코폴라(74), 마틴 스코세이지(71) 등이 계속 영화를 내놓는다. 100세 시대인 요즘, 예술가에게 정년 65세를 적용하려는 시도는 무리가 아닐까.

논설위원 symun@seoul.co.kr

2013-06-19 3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전과자의 배달업계 취업제한 시행령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강력범죄자의 배달원 취업을 제한하는 내용의 시행령 개정안이 의결된 가운데 강도 전과가 있는 한 배달원이 온라인 커뮤니티에 “속죄하며 살고 있는데 취업까지 제한 시키는 이런 시행령은 과한 ‘낙인’이다”라며 억울함을 호소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전과자의 취업을 제한하는 이런 시행령은 과하다
사용자의 안전을 위한 조치로 보아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